
오스트리아 정부가 히틀러의 생가를 경찰서로 재활용하기로 한 것을 두고 정부와 현지 주민들 사이에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히틀러 생가를 두고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 경찰서로 활용하기보다 역사를 돌아보는 장소로 활용돼야 한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 2017년 오스트리아 정부는 오스트리아 북부 오버외스터라이히주 브라우나우암인 마을에 위치한 히틀러 생가 건물을 81만 2000유로(약 11억원)를 들여 매입했다.
당시 설립된 ‘아돌프 히틀러 생가의 역사적으로 올바른 처리를 위한 위원회’는 이 집을 철거하는 것을 반대하는 동시에, 박물관 등 역사적 의미를 띤 장소가 되면 계속 히틀러를 연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며 “건물이 지닌 인지도와 상징적 힘을 없애기 위한 충분한 건축적인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후 정부는 해당 건물의 활용 방안을 놓고 수년간 논의를 거쳐오다가 2019년 이 집을 경찰서로 활용하겠다고 결정을 내렸다.
하지만, 마을 주민들은 정부의 결정이 이 집이 지닌 역사적 의미를 지우는 처사라고 비판하고 있다.
장애인을 위한 복지관으로 쓰였던 과거의 용도를 되살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오스트리아 정부는 1972년 당시 민간 소유였던 이 건물이 네오나치 추종자들의 근거지로 악용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 건물을 직접 주인으로부터 임대하고, 1977년부터 2011년까지 장애인 복지 시설로 사용해 왔다.
지역 역사가 플로리안 코탄코는 NYT를 통해 “많은 주민들은 해당 건물이 다시 장애인 복지 시설로 쓰이는 것을 더 원한다”라며 “그것이 장애인을 박해했던 히틀러의 뜻에 반하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이 건물을 경찰서로 바꾸면 히틀러와 네오나치 추종자들이 오히려 인근에서 불법행위를 저지르고 수감되려는 ‘성지’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현재 히틀러 생가 앞에는 1989년 브라우나우암인 시장이 설치한 “평화, 자유, 민주주의를 위해. 파시즘이 다시 도래하지 않도록. 수백만 명의 죽음은 그 경고”라는 문구의 비석이 관광객들을 반기고 있다.
하지만 히틀러의 생일 등에는 네오나치 추종자들이 찾아와 초나 화환을 가져다 놓기도 한다고 NYT는 덧붙였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