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미 안보 위협이 사이버 공격을 넘어 실제 영공 침범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12일(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은 이것이 해킹이나 정보 탈취를 넘어선 물리적 위협으로, 미중 갈등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한다고 보도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드론 운용의 정교함이다.
고정익 드론과 쿼드콥터를 조합한 비행 패턴, 상용 주파수와 다른 대역 사용 등은 이번 사건이 단순 취미가 아닌 조직적이고 전문적인 작전일 가능성을 높였다. 이는 중국의 군사 정보 수집 능력이 이미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
미 당국의 대응 과정에서 드러난 법적, 기술적 한계는 더욱 우려스럽다.
연방법상 드론 격추 제한, 상업용 항공기 안전 문제 등으로 인해 즉각 대응이 어려웠다는 점은 향후 유사 사태 발생 시 미국의 취약성을 다시 한번 노출한 사건이었다.
이번 사건은 미중 갈등의 심화와 함께 안보 위협의 다변화를 여실히 보여준다. 특히, 중국 유학생 펑윤시의 체포 사례는 민간인을 활용한 정보 수집 가능성을 제기하며, 안보와 개방성 사이의 균형 문제를 부각한다. 이는 미국 내 중국인 유학생과 연구원들에 대한 감시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 방위 산업과 기술 부문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드론 방어 시스템, 전자전 능력 강화 등에 대한 투자가 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동시에 미국의 기술 보호주의가 강화되면서 중국과의 기술 교류가 더욱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을 비롯한 미국의 동맹국들에게 이번 사건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지리적으로 중국과 인접한 한국의 경우, 유사한 드론 침입 사태에 대한 대비가 시급하다. 또한, 미국의 대중 견제 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한국의 대미, 대중 외교 전략에도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랭글리 기지 드론 사태는 미중 갈등의 새로운 양상을 보여주는 동시에 현대 안보 위협의 복잡성을 단적으로 드러낸다. 이는 단순히 미국만의 문제가 아닌 글로벌 안보 환경의 변화를 의미하며, 각국은 이에 대한 종합적이고 유연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과 같은 중견국은 미중 갈등 속에서 국익을 지키면서도 안보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접근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