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우리소다라은행, 신용장 사기로 OJK "내부 직원 연루" 조사

글로벌이코노믹

우리소다라은행, 신용장 사기로 OJK "내부 직원 연루" 조사

중견 수출기업이 신용장 거래로 자금 빼돌려...OJK "지난해부터 내부통제 허점 경고"
지배구조 전체 다시 살펴보기 예고, 은행 내부통제와 경영 책임 강화 움직임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우리은행의 PT 우리은행 사우다라 인도네시아의 로고. 사진=우리소다라은행이미지 확대보기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우리은행의 PT 우리은행 사우다라 인도네시아의 로고. 사진=우리소다라은행
인도네시아 금융권에서 우리소다라은행(PT Bank Woori Saudara Indonesia 1906)이 신용장(Letter of Credit, LC) 거래를 둘러싼 대형 사기 사건에 휘말렸다. 피해 규모는 약 12800억 루피아(1076억 원)로 추정된다. 은행 내부 직원이 사기 거래에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원(OJK)이 집중 조사에 나섰다.

OJK 은행감독부문 국장은 13일 "은행 내부 직원이 신용장 거래 사기 사건에 연루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OJK"신용장 거래가 만기된 시점에서 사기 의혹이 제기됐고, 은행 내부 직원이 연루된 정황이 포착됐다"고 설명했다. OJK"은행 내부통제 허점이 지난해 검사에서 이미 지적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소다라은행은 사건 발생 직후 내부 감사팀을 투입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 은행 측은 "12800억 루피아는 신용장 거래에 연계된 총 신용액(노출액)이고, 실제 손실 규모는 조사가 끝날 때까지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은행은 연루 의심 직원을 즉시 자리에서 물러나게 하고, 법무팀과 협력해 피해를 줄이고 채권을 회수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 관련 수출기업과 협의를 통해 채무 상환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 내부통제 허점과 지배구조 문제로 금융권 경계심 커져


이번 사건은 은행 내부통제와 지배구조의 허점이 드러난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OJK"우리소다라은행이 지난해 검사에서 신용장 거래와 관련한 내부통제 미흡 문제를 이미 지적받았다"고 밝혔다. OJK"은행 경영진이 내부통제와 지배구조를 바로잡기 위해 즉각 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OJK"금융권이 투명하고 책임감 있는 경영을 이어가야 한다"는 원칙을 다시 한 번 확인하며, 은행 경영진에 대한 전면 재검토를 예고했다. OJK"은행 경영진의 책임을 강화하고, 내부통제와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추가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이번 사건이 신용장 거래와 내부통제 미흡에 대한 경계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 사기 피해 줄이기와 앞으로 대응 방향


우리소다라은행은 사건 발생 직후 신속하게 대응에 나섰다. 은행은 내부 연루 의심 직원을 자리에서 물러나게 하고, 법무팀과 협력해 피해를 줄이고 채권을 회수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은행은 관련 수출기업과 채무 상환 계획을 협의 중이며, 해당 기업이 상환 약속과 함께 재무적 능력과 상환 일정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OJK는 은행과 긴밀히 협력하며, 사건 조사와 피해 최소화를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OJK"은행이 신용장 거래와 관련된 내부통제와 지배구조를 전면 다시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OJK"은행 경영진의 책임을 강화하고, 내부통제와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추가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우리소다라은행의 신용장 사기 사건은 금융권의 내부통제와 지배구조 문제를 다시 한 번 드러냈다. OJK"은행이 신용장 거래와 관련된 내부통제와 지배구조를 전면 다시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은행은 내부 감사와 법무팀 협력을 통해 피해를 줄이고 채권을 회수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이번 사건이 신용장 거래와 내부통제 미흡에 대한 경계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우리소다라은행은 사건 발생 직후 내부 직원을 자리에서 물러나게 하고, 법무팀과 협력해 피해를 줄이고 채권을 회수하는 데 나섰다. OJK는 은행과 긴밀히 협력하며, 사건 조사와 피해 최소화를 위한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OJK"은행 경영진의 책임을 강화하고, 내부통제와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추가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