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중, 서로 다른 길 가나...중국, 7월 수출 7.2% 증가 vs 미국, 수출 4개월째 감소

글로벌이코노믹

미·중, 서로 다른 길 가나...중국, 7월 수출 7.2% 증가 vs 미국, 수출 4개월째 감소

관세 낮췄지만 무역 갈등은 계속…수출 다변화 뚜렷해
미국과 중국의 탈동조화가 트럼프의 관세 전쟁 촉발이후 더 커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과 중국의 탈동조화가 트럼프의 관세 전쟁 촉발이후 더 커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로이터
중국 관세청이 지난 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중국 전체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7.2% 늘어 65.8% 증가보다 빠른 상승세를 보였다. 수입도 4.1% 증가해 61.1%보다 늘었다. 하지만 미국으로의 수출은 같은 기간 22% 줄어 4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이 다른 국가로 수출을 늘리며 전체 성장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난 7(현지시각) 월스트리트저널이 전했다.

윈드 인포메이션(Wind Information) 자료와 중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2024년부터 올해 초까지 전체 수출은 꾸준히 늘었으나 미국 수출은 올해 중반부터 30% 이상 급감했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수입 제한 강화와 양국 간 갈등이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한다.

중국 경제 전문가들은 미국으로 향하는 수출 감소가 중국 경제에 큰 타격을 주지 않은 까닭으로 동남아시아, 중동, 러시아, 남미 등 다양한 지역으로 수출처를 넓힌 점을 꼽는다. 올해 상반기 중국 수출은 5.9% 늘어 경제 성장률 5.3%를 견인했다.

반면 미국 내 제조업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도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 등은 월풀, 할리데이비슨, 폴라리스 같은 주요 업체들이 생산을 줄이고 소비자 지출이 위축돼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749.8, 성장과 위축 기준인 50 이하를 유지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평균 18%에 이르는 관세를 부과했지만, 일부 품목에는 15%까지 낮춘 국제 무역 협정 덕분에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분석도 있다. 경제 전문가 윌리엄 라인쉬는 섬유 같은 일부 분야에는 관세가 영향을 주지만, 자동차와 철강 등 대규모 생산 촉진에는 부족하다고 말했다.

또한 기업들이 관세 인상 전에 재고를 쌓은 뒤 구매를 줄여, 중국 수출이 하반기에 둔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 제조업 이익은 상반기에 1.8% 줄었고, 6월 한 달 사이 4.3% 감소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경기 부진과 가격 경쟁, 과잉 생산 문제를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과 중국은 8월 중순 무역 휴전 종료 전 관세 일부를 낮추는 협상을 진행 중이다. 미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최근 스톡홀름 회담을 건설적이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미국 수출 급감과 전체 수출 성장이라는 상반된 모습은 양국 경제가 점점 따로 움직이는 경제 분리를 빠르게 진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최근 보도와 전문가들의 분석을 보면, 미국과 중국은 공급망과 핵심 원자재, 첨단 기술 분야에서 디커플링(경제 분리)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희토류 국내 생산 확대를 검토하지만, 신규 광산 개발에 평균 29년이 걸려 실질적인 효과는 늦을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양국 기업과 산업계의 불안도 깊어지고 있다.

중국은 미국 의존을 줄이고 동남아 등 대체 시장으로 수출을 확대하는 데 힘쓰고 있고, 미국은 제조업 회복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관세 정책의 실효성을 재검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미국 관세 정책은 대체로 높은 관세율(평균 18% 이상)을 적용하며 미국 제조업 보호를 목표로 하지만, 실제로는 제조업 투자 축소, 고용 둔화, 소비자 가격 상승 등 부작용만 키우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관세가 일부 산업에 영향을 주지만, 자동차, 철강 등 대규모 제조업을 부흥시키기엔 부족하며, 노동력 부족과 높은 생산 비용도 큰 장애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트럼프 등장 이후 중국과 미국 경제가 더더욱 따로 움직이며 무역과 제조업 양쪽에서 상반된 흐름을 보이는 현상이 2025년 세계 경제에 큰 변곡점이 되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