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에게 위약금이나 보상안 등 질의 이어질 듯
요금제 수와 인하 등 요구 이어질 것으로 전망
요금제 수와 인하 등 요구 이어질 것으로 전망

20일 국회 등에 따르면 과방위는 21일 증인으로 유영상 SKT 대표이사와 김영섭 KT 대표, 홍범식 LG U+ 대표를 채택했다. 앞서 SKT는 지난 4월 2300만명에 달하는 고객의 유심 정보가 유출되는 대규모 사고가 발생했다. KT는 지난 8월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관리 등 보안 허점이 발견됐고 조사 결과 2만2200명이 해커에 정보가 노출됐다. 이들 중 368명은 금전적 피해를 보기도 했다. LG U+는 지난 8월 미국 언론에서 언급한 내부 서버 정보 유출에 대한 질의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특히 김 대표에게 질의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SKT는 지난 4월 해킹사태 발생 후 위약금 면제와 서비스 품질 개선 등에 천문학적인 비용을 투자하면서 마무리돼 가고 있지만 지난 8월 소액결제 피해가 발생했던 KT는 아직까지 위약금 면제를 비롯한 보상 안에 대해서는 발표를 하지 않고 있다. KT는 지난 17일 진행된 소액결제 및 개인정보 유출 피해 관련 전수 조사 결과를 발표 당시 위약금과 관련해 민관합동조사단 결과에 따라 진행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의원들이 미온적인 결과가 아닌 직접적으로 언제 위약금 면제 혜택 등을 줄 수 있을지 김 대표에게 물어볼 가능성이 높다. 이와 함께 책임론에 대한 질타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 대표는 지난 14일 진행된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진행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할 당시 전체 고객에게 통지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 무책임하다는 질타가 쏟아졌다. 이에 김 대표는 "전체 고객에게 통지할 경우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해명하면서 "전 국민, 고객을 불안하게 해 정말 죄송하고 앞으로 혁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다만 위약금 면제나 보상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발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번 과방위 국감에서 해당 사안이 언급될 가능성이 크다.
통신 업계 한 관계자는 요금제 논란에 대해 "많은 요금제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요금의 경우 정부의 지침에 따라 책정하고 있고 실제 이익률도 매우 낮은 편"이라며 "기업과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