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수첩] 지역경제 살리려면 지방은행 공약 절실

글로벌이코노믹

[기자수첩] 지역경제 살리려면 지방은행 공약 절실

금융부 이민지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금융부 이민지 기자
고개 들면 보이는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을 비롯해 휴대전화가 곧 창구인 카카오·케이·토스뱅크는 모두 시중은행으로 분류된다. 한국은행이 내린 정의다. 지역민에게 익숙할 BNK경남·부산은행, 광주·전북은행은 지방은행이다.

비록 자본금 규모는 시중은행의 4분의 1이지만 지역에서 나름대로 ‘알짜 장사’를 해왔던 지방은행들은 요즘 우울하다. 시중은행 덩치에 밀려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4개 지방은행의 올 1분기 순이익은 총 2735억원으로 4대 은행(3조7805억원)의 13분의 1 수준이다. 4개 은행의 순익을 합친 규모가 카카오뱅크(1374억원)의 두 배에 그칠 뿐이다.

특정 지역에 한해서만 영업이 가능한 지방은행 규정상 손님 모집에도 한계가 있다. 디지털로 젊은 고객을, 특화 영업점으로 외국인 고객을 부랴부랴 모으고 있지만 익숙한 4대 은행과 편리한 인터넷전문은행 사이 샌드위치 신세는 여전하다.
이들의 활로가 절실한 가운데 대선 주자들은 지방은행의 ‘지’ 자도 꺼내지 않고 있다. 선거철 단골 공약이던 ‘충청·강원 은행 설립’마저 종적을 감췄다. 그나마 경선 중 김경수 당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지역별 산업·투자은행을 만들겠다고 언급한 뒤로는 감감무소식이다.

지방은행 코가 석 자다. 지역경제를 살리겠다면 척박한 영업환경에 놓인 지방은행을 우선해 돌아봐 달라. 국민의힘발 소상공인 전문은행이랑 민주당발 중금리대출 인뱅이랑 우후죽순 새로 만드는 것도 좋지만, 지방 경기 악화로 어려움을 겪는 지방은행들을 ‘다 잡은 물고기’ 취급하는 것은 시기상조다.

대선 공약은 곧 국정과제에 포함된다. 다시 말해 공약에서마저 약속받지 못한다면 이후 협상 테이블에 오르기도 쉽지 않다. 세부 공약에는 지방은행을 향한 관심이 포함되길 바란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