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중국-일본 갈등 장기화에 대비해야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중국-일본 갈등 장기화에 대비해야

중국과 일본과의 갈등이 극한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사진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지난달 경주에서 열린 중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중국과 일본과의 갈등이 극한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사진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지난달 경주에서 열린 중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자국민에게 일본 여행과 유학 자제를 촉구하고 나섰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의회에서 대만 유사시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발언에 대응한 조치다.

경주 APEC 기간 정상회담을 한 지 2주 만에 벌어진 갈등이다. 중국은 올해 9월 말 기준 748만 명에 이른 자국 관광객만 통제해도 일본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

일본의 관광 수입 중 중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21.2% 정도이기 때문이다.
이번 조치에는 중국 국영항공사와 홍콩 보안국까지 가세한 모양새다.

2010년 9월 중·일 해상 충돌 당시 취했던 것과 비슷한 조치다. 당시 방일 중국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26%나 감소했다.

유학 자제령도 같은 맥락이다. 일본 학생지원기구(JSSO)의 통계를 보면 일본에 유학 중인 중국 학생은 약 12만3000명이다. 일본 전체 유학생의 약 37%를 차지하는 규모다.

중국으로서는 이참에 일본 경제에 타격을 주면서 새 내각도 길들이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셈이다.

일본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을 중국에 보내 총리의 발언을 해명하는 중이다. 일본의 최대 교역국이자 제조업체의 핵심 원자재 공급국인 중국을 자극하지 않겠다는 의도다.
과거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둘러싼 갈등 당시 일본 제품 불매운동으로 대중 수출에 큰 타격을 받은 경험도 있다.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 대비 0.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일본으로서는 중국 시장을 중시하지 않을 수 없는 구조다.

하지만 총리의 발언 취소와 사과를 요구하는 중국의 요구를 다 들어줄 수도 없다. 일본 새 내각에 대한 국내 여론의 지지가 압도적인 데다 미국과의 협력 구도도 강화됐기 때문이다.

문제는 양국의 갈등으로 인한 한국의 타격이다. 그렇지 않아도 미국의 고관세로 글로벌 수출 여건은 악화 일로다.

주요 수출시장인 중국이나 일본과의 협력은 물론 아세안과 중동 등 시장 개척을 위해 정부와 기업이 힘을 합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