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채 금리 가파른 상승세… 3년물 3% 육박
올해 평균 환율, 외환위기 때보다 높아
고환율 장기화로 수입물가 본격 상승 곡선
'고환율→고물가→고금리→저성장' 연쇄 악영향 우려
올해 평균 환율, 외환위기 때보다 높아
고환율 장기화로 수입물가 본격 상승 곡선
'고환율→고물가→고금리→저성장' 연쇄 악영향 우려
이미지 확대보기구조적인 원화 약세에 수입물가가 뛰고, 국고채 금리도 연중 최고 수준으로 오르면서 저성장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는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서울채권시장에서 시장금리의 대표 지표인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연 2.914%에 마감했다. 연중 최고치였던 전 거래일(2.944%) 대비 0.03%포인트(P) 내렸지만 최저치였던 지난 5월 7일(2.253%)보다는 무려 0.661%P 높고, 한국은행 기준금리(2.5%)보다도 0.414%P 높다.
최근 국고채 금리 상승(가격 하락)은 시장에서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크게 후퇴한 탓이다. 3년물 국채는 단기채권 중 거래량이 가장 많아 기준금리 전망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국채로 꼽힌다. 이에 3년물 국채를 기준금리의 선행지표로 보기도 한다.
계엄과 탄핵 사태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이 소멸되고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마무리되면 안정될 것으로 여겨졌던 환율이 1400원대 중후반에서 내려올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구조적 원화 약세 우려도 커지고 있다.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날까지 원·달러 평균 환율은 1415.50원으로 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평균 환율 1394.97원,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276.35원보다 높은 수준이다.
김준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들어 통화 약세와 채권 약세가 동시에 확인된다"면서 "한국의 경우 선진국과 달리 저성장이 채권 강세를 의미하는 것이 아닐 수도 있어 오히려 구조적으로 성장률이 낮아지는 것은 채권 약세 재료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분간 채권 순발행량은 꾸준히 늘어날 수밖에 없는 환경"이라면서 "환율과 마찬가지로 채권 금리의 균형점 또한 상향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환율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단기간에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기는 쉽지 않다"면서 "물가 통계에서 제외되는 자가주거비를 고려하면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 고통은 실제 통계치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말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



















![[특징주] 영원무역, 7.27% 급등 52주 신고가...NH투자증권 "목표...](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816484205141edf69f862c118235146.jpg)
![[KRX 금현물] 3거래일 연속 하락…1g당 19만800원 마감](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816051909874edf69f862c1182351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