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자도 못 갚는다”…외감 건설기업 절반 경영난 심각

글로벌이코노믹

“이자도 못 갚는다”…외감 건설기업 절반 경영난 심각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건설사 44.2%
공공·민간 건설시장 동반 침체 영향
올 1~9월 폐업 건설사 500개 육박
건산연 “건설산업 체질 개선해야”
14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2024년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부실현황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외감기업(직전 사업연도말 기준 자산총액·매출액이 500억원 이상으로 외부 회계 감사 대상인 건설사) 중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곳의 비중은 44.2%다. 서울시내의 한 공사 현장. 사진=픽사베이이미지 확대보기
14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2024년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부실현황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외감기업(직전 사업연도말 기준 자산총액·매출액이 500억원 이상으로 외부 회계 감사 대상인 건설사) 중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곳의 비중은 44.2%다. 서울시내의 한 공사 현장. 사진=픽사베이
건설 경기 침체로 외부감사 대상 건설기업의 절반 가량이 영업활동으로 번 돈으로 이자를 지급하면 남는 돈이 없을 정도로 경영난에 빠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2024년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부실현황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외감기업(직전 사업연도말 기준 자산총액·매출액이 500억원 이상으로 외부 회계 감사 대상인 건설사) 중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곳의 비중은 44.2%다.

건설외감기업들 절반 가까이 외부의 도움 없이는 정상적 경영활동이 어려운 부실 한계기업인 것이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1 미만이면 벌어들인 돈보다 이자 비용이 많아 채무 상환이 어렵다는 의미다.
특히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건설외감기업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건설외감기업 비중이 2020년 33.1%, 2021년 37.7%, 2022년 41.3%, 2023년 43.7%, 2024년 44.2%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부실 한계기업이 늘어난 것은 부동산 경기 침체와 미분양 증가,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건설 원자잿값 상승 등 각종 악재가 겹치면서 수익성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공공·민간 건설시장이 모두 침체에 빠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윤재옥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SOC사업 예산 및 집행내역’에 따르면 지난해 국토부 SOC사업 259건 중 111건(42.9%)에서 예산이 집행되지 않았다.

연도별로 보면 2020년 1028억원이었던 예산미집행 규모는 2024년 5496억원으로 다섯 배 가량 증가했다. 집행률 80% 이하 사업비중도 2020년 33건(12%)에서 2024년 62건(24%)으로 두 배 늘었다.

민간 아파트 분양 시장도 부진한 상태다.

부동산R114 조사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민간 아파트 분양물량(임대 포함)은 총 14만8836가구로 집계됐다. 주택시장이 달아올랐던 2021년의 분양물량 37만7000가구의 40%에도 미치지 못하고 지난해 24만4000가구보다도 10만가구 가까이 적은 수치다.

청약 성적도 저조하다. 리얼투데이가 올해 1월부터 지난달 16일까지 공급된 지방 분양 아파트(보류지·조합원 취소분 물량 제외)를 전수 조사한 결과 83곳 중 전 주택형 1순위 마감 단지는 단 6곳에 불과했다.

이에 폐업하는 건설사들이 늘어나고 있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9월 폐업신고를 한 종합건설사는 486곳으로 전년 동기(435건)보다 11.7% 증가했다. 4년 전 동기(226건)와 비교하면 2배 이상 많은 수치다.

이지혜 건산연 연구위원은 “내수 부진과 대출 규제 등의 요인이 건설경기 회복을 막고 있다”며 “건설산업 체질 개선을 위한 접근과 미래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