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기업 투자 불확실성 커져, 인도 ‘시장 다변화’ 가속화, 한국 기업도 대비해야

◇ 쌓아온 신뢰 흔드는 트럼프의 “죽은 경제” 발언
미국은 2000년대 초부터 인도와의 협력을 꾸준히 확대해왔다. 클린턴, 부시, 오바마, 트럼프 1기, 바이든 행정부까지 모두 공급망, 첨단산업, 군사 분야에서 인도와 손을 잡았고, 애플 등 미국 기업들이 인도에 생산 시설을 만들어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러시아산 석유·군수품을 많이 들여온다는 이유로 고율 관세 조치를 발표했다. 그와 함께 8월 1일 SNS ‘트루스소셜’에서 “인도와 러시아가 함께 자기들의 ‘죽은 경제’를 망쳐도 나랑 상관없다”고 했다. 현지 언론과 월스트리트저널 등은 이러한 발언이 인도 내 반미 여론을 더 악화시켰다고 전했다.
관세와 비난 발언에 인도 정부도 “굉장히 유감스럽고 불공정한 결정”이라며 미국 대신 러시아, 중국과의 경제협력, 상품 수출 확대 등 대응책을 본격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실제로 인도는 러시아로부터 수입하는 원유 비중을 38%까지 높였고, 중국과도 교역 확대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로이터, 뉴욕타임스 등이 보도했다.
◇ ‘시장 다변화’ 속도 내는 인도, 한국 투자기업도 대비해야
이번 조치로 기업들 사이에서는 “더 이상 미국만을 믿을 수 없다”는 시각이 확산했다. 인도 현지 대기업들은 미국 시장 의존을 줄이고, 유럽과 동남아 등으로 거래처를 넓히는 전략에 나섰다. 실제로 8월 들어 주요 식품·의류·전자기업들이 유라시아와 동남아 시장으로 수출을 늘리기 위한 계약을 맺고 있다는 외신 보도도 나오고 있다.
여러 시장 전문가들은 “관세 인상 이후 인도 기업들은 공급망 다변화, 신규 시장 개척, 대체 거래선 확보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며 “한국 등 글로벌 기업도 인도 투자 환경의 불확실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특히 자동차,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대미 수출 기업들은 현지 생산·투자 전략 강화, 공급처 분산, 리스크 관리 체계 구축 필요성을 검토해야 할 시기라고 말한다.
한편 이번 미·인도 관세 갈등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리스크 분산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보여주고 있다고 각국 경제 연구기관들은 짚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