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울산화력 붕괴 7명 사망] 이대통령 "사고 책임자 엄정처벌" 고강도 수사 예고

글로벌이코노믹

[울산화력 붕괴 7명 사망] 이대통령 "사고 책임자 엄정처벌" 고강도 수사 예고

“국민 안전 최종 책임자로 진심으로 송구"
전 사업장 안전 실태 제로베이스에서 재검토
이재명 대통령.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이재명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로 7명의 작업자가 목숨을 잃는 대규모 참사가 발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16일 페이스북에서 “국민 안전의 최종 책임자로서 진심으로 송구하다”며 사고 책임자의 엄정한 처벌과 전 사업장의 안전 실태를 제로베이스에서 재검토할 것을 지시했다.

이번 사고는 11월 6일 오후 2시경 울산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내 63m 높이 보일러 타워(5호기) 해체 작업 중 건물이 붕괴하면서 발생했다. 현장에는 9명의 작업자가 있었으며, 2명은 자력 탈출했지만 7명이 매몰돼 모두 사망한 안타까운 결과를 낳았다. 사고 현장은 오래된 설비와 복잡한 철골 구조물로 인해 수색 및 구조 작업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살기 위해 하는 일이 죽음으로 가는 길이 돼선 안 된다”며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공사 기간 단축에 따른 무리한 작업 강행 여부 등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사고 책임자는 지위에 상관없이 엄정 처벌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고용노동부 김영훈 장관은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며, 사고와 관련된 한국동서발전, HJ중공업, 코리아카코 등 공사 발주처와 시공사, 도급업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강도 높은 수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문양택 기후에너지환경부 전력산업정책과장은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시장 효율성과 공공성을 함께 확보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 중”이라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력산업 전반에 걸친 안전 대책 강화와 구조혁신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 사고는 우리나라 에너지 인프라의 노후화와 안전관리 체계의 문제점을 여실히 드러낸 사례로, 정부와 산업계가 협력해 안전관리 강화, 법·제도 개선, 작업 환경 혁신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더 이상 산업 현장이 죽음의 현장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국민적 요구와 함께, 정부는 철저한 진상 규명과 엄정한 책임자 처벌, 그리고 전 사업장에 대한 안전 실태 점검을 통해 신뢰 회복에 나서야 할 것이다.


임광복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