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삼성, 국내 450조원 투자 시동…반도체·AI·배터리·고용 전방위 확장

글로벌이코노믹

삼성, 국내 450조원 투자 시동…반도체·AI·배터리·고용 전방위 확장

평택 5라인 착공과 지방 첨단 인프라 확대
미래 전략산업 중심축 자임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이 향후 5년 동안 국내에 총 450조원을 투입하며 국가 전략산업과 지역 균형발전 강화를 위한 초대형 투자 로드맵을 본격 가동한다.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반도체와 인공지능, 차세대 배터리, 디스플레이 등 핵심 산업에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청년 일자리 확대와 협력회사 상생 기반을 강화하며 산업 생태계 전반의 체질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임시 경영위원회를 열고 평택사업장 2단지 5라인 골조 공사를 승인했다.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 중장기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고 선제 대응 차원에서 생산능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평택 5라인은 2028년 본격 가동될 예정이며 주변 인프라 투자도 병행된다. 이로써 평택사업장은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중심축으로서 전략적 위상을 한층 강화할 전망이다.

삼성은 수도권 편중을 완화하고 지역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지방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삼성SDS는 전남 국가 컴퓨팅센터와 구미 AI데이터센터 등 다거점 AI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며 2028년까지 GPU 1만5000장을 확보해 학계와 스타트업, 중소기업에 제공할 계획이다.

구미 데이터센터는 삼성 관계사 중심의 AI서비스 거점이 된다. 삼성전자는 유럽 공조기기 기업 플랙트 인수를 기반으로 광주 생산라인 구축을 검토하며 글로벌 AI데이터센터용 공조 시장 공략에 나선다.

삼성SDI는 울산 사업장을 전고체 배터리 생산 후보지로 검토하고 있다. 2023년 수원 파일럿 라인에서 시제품 공급을 시작해 고객사 테스트가 진행 중이며 2027년 양산을 목표하고 있다. 최근 BMW와 전고체 배터리 실증 프로젝트 협력도 체결해 경쟁력 확보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사업장에서 8.6세대 IT용 OLED 라인을 시험가동 중이며 내년 중순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한다. 아산 혁신공정센터에 유휴설비 14종을 기증해 지역 제조 인프라 고도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삼성전기는 부산사업장에서 서버용 패키지기판 FC-BGA를 양산하며 AI 가속기 시장 대응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삼성은 청년 일자리 창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향후 5년간 6만명을 직접 채용할 계획이며 SSAFY, 희망디딤돌, C랩 아웃사이드, 청년희망터 등을 통해 추가적인 고용 파급효과를 만들고 있다. SSAFY는 누적 수료생 8000명 이상, 취업률 약 85%로 실전형 인재 배출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올해부터 AI 교육 비중을 60%로 확대했다.

희망디딤돌 2.0은 자립준비청년에게 주거 지원과 함께 전자·선박제조·공조냉동 등 10개 직무 교육을 제공해 기술 기반 자립을 돕고 있다. C랩 아웃사이드는 누적 540개사 이상 스타트업을 육성하며 지방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 거점 운영도 확대했다. 청년희망터는 지역 청년활동가 단체 80개를 지원해 도시재생·문화관광 등 지역 현장에서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삼성은 협력회사 지원에서도 실질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1~3차 협력회사 1051개사에 대해 설비투자와 운영자금 등에 필요한 대출을 저리로 지원해 올해 상반기까지 2조0321억원을 집행했다. 2024년부터는 협력회사의 안전·환경 투자에 대해 무이자 대출도 제공하고 있으며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사업장 상주 협력사 직원에게는 2010년부터 인센티브를 지급해 왔다. 2025년 상반기까지 누적 지급액은 8146억원이다.

삼성은 반도체, AI, 배터리, 디스플레이 등 미래 전략산업 전반에서 대규모 투자를 병행하며 국내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 청년 고용 확대 등 다층적 효과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