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중국 4대 국영기업, 해외채무 불이행 전체기업의 52% 차지

공유
1

중국 4대 국영기업, 해외채무 불이행 전체기업의 52% 차지

중국 대기업들은 효율적인 소유 구조 하에서 단일 가족에 의해 지배되는 한국의 재벌을 모방했지만 결과는 실패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사진은 칭화유니그룹 로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대기업들은 효율적인 소유 구조 하에서 단일 가족에 의해 지배되는 한국의 재벌을 모방했지만 결과는 실패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사진은 칭화유니그룹 로고. 사진=로이터
중국 정부는 HNA그룹과 안방보험그룹을 정리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를 소모하고 있다. 망명한 억만장자 궈원구이와 얽힌 베이징대 설립자그룹은 법정에서 채무 재조정을 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채권부도 파동은 거의 대부분 대기업에서 나왔다. 허난성과 랴오닝성의 최대 국유기업인 용청석탄전기지주회사와 브릴리언스자동차그룹홀딩스가 그랬다. 시진핑 주석이 꿈꾸는 반도체 패권 꿈의 핵심 칭화유니그룹은 지난 12월 25억 달러의 채권을 디폴트(채무불이행)했다.
지난해 중국 4개 국영 대기업의 해외 채무 불이행은 전체 중국기업의 52%를 차지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중국 산업 대기업들의 지난해 채무불이행 금액은 960억 위안에 달했으며 국영기업의 경우 880억 위안이었다.

중국 증시는 특히 상장 규제완화를 받은 기업들에게 또 다른 실마리를 제공한다. 이렇게 분류된 기업의 약 15%는 거래소에서 ‘ST’라는 태그를 달고 있다. 최소 2년 연속 영업 손실을 낸 회사들에게 상장폐지 경고를 하는 방식이다. 증시에서 대기업은 ‘ST’ 분류를 받을 가능성이 약 4배나 높았다.

중국 대기업의 문제는, 효율적인 소유 구조 하에서 단일 가족에 의해 지배되는 한국의 재벌을 모방했지만 결과는 잘못됐다고 야후 파이낸스가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이 한국 모델을 동경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재벌들은 널리 퍼져 있는 기업 제국을 관리하는 기술을 완벽하게 터득했다. 재벌의 창업 일가는 지배력을 행사해 이익을 얻으며,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의 지분율로도 그룹 전체를 통제한다.

예컨대, SK그룹 최태원 회장 일가는 SK텔레콤 지분 27%를 보유하고 있는 SK홀딩스의 지분 25%를 보유하고 있다. SK텔레콤은 하이닉스의 지분 20%를 보유하고 있다. 46억 달러어치의 보유 주식으로 910억 달러 규모의 하이닉스를 통제한다. 삼성그룹이나 현대차그룹 등 한국의 유력한 그룹들도 유사한 통제 구조를 갖고 있다.

차이는 한국 정부가 투명성을 내세우고 재벌 그룹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반면 중국의 재벌들은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강력한 권력을 추구하는 중국 정부와 국민의 관행은 대기업들이 실패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칭화유니그룹은 삼성 워너비다. 자산 규모가 3000억 위안에 육박하는 반도체 왕국은 286개의 연결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다. 회사는 최첨단의 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제조업체인 양쯔메모리 테크놀로지(YMTC)를 싸게 인수하기 위해 재벌들의 전략을 사용했다. 13%라는 소액 지분으로 통제하는 다단계 구조를 만들었던 것이다. 칭화유니그룹의 다단계 소유권 구조는 삼성 모델보다 투명성이 훨씬 떨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YMTC는 칭화유니그룹에 큰 타격을 주었다. 560억 위안의 YMTC의 등록 자본은 종잣돈에 불과했다. 유니그룹은 총 240억 달러를 지출했다. 그러나 2019년에도 적자를 내고 있었다. 6월 현재 YMTC는 중국산업은행에 70억 위안이 넘는 대출채권을 지고 있으며 이 모든 대출채권은 유니그룹이 보증하고 있다. 유니그룹은 또한 다른 계열사의 부채까지 떠안고 있다. 지난 6월 현재 유니그룹은 1년 내 갚아야 할 차입금이 467억 위안에 달했다.

지난 2017년 상하이에 본사를 둔 그린랜드홀딩스는 랴오닝성 북동부의 합작법인이 4억5750만 위안의 대출금을 갚지 못해 명성에 타격을 입었다. 그린랜드는 대출을 보장하지는 않았지만 랴오닝 합작법인이 얼마나 부실한지를 시장은 알아차렸다. 그린랜드는 손실을 흡수해야 했고, 그 이후 시장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다.

중국 국영 대기업들의 순환고리와 지배구조는 한 때 성공했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이제 그들의 지배구조와 그들이 벌이는 게임의 함정을 파악했다. 불투명한 재정과 금융도 통합 대차대조표 등 재무제표를 통해 들여다본다. 중국 정부가 알리바바의 핀테크 자회사 앤트그룹에 대해 강한 압박을 가한 것도 그 일환이라고 분석하는 전문가도 많다. 중국의 디지털 결제 대부분을 처리하고 수억 명의 소비자와 중소기업이 대출을 받는다. 그들의 부의 상당 부분을 불확실한 미래인 앤트에 의존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다.


조민성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s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