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미 정상 "해외 원전시장 협력" 약속, 원전 수출 보탬될까

공유
0

한미 정상 "해외 원전시장 협력" 약속, 원전 수출 보탬될까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 "해외 원전시장 내 협력 발전" 명문화
업계 "환영" 분위기 속 일각선 "경쟁국 미국과 협력 한계" 회의적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 확대보기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공동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한국과 미국 정상이 원전사업 공동참여를 포함해 해외 원전시장에서 양국 협력을 강화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국내 신규 원전 건설을 백지화해 국내 원전산업 생태계가 취약해진 상태에서, 해외 원전시장에서 경쟁관계인 미국과의 협력이 우리기업의 해외 원전사업 수주에 어떤 효과를 발휘할지는 기대와 회의가 교차하는 모습이다.
미국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공동성명 중에는 "(양국 정상은) 원전사업 공동 참여를 포함한 해외 원전시장 내 협력을 발전시켜 나가기로 약속하였다"는 문구가 포함됐다.

이에 대해 원전 업계 일각에서는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세계 원전시장에서 미국의 영향력이 큰 만큼, 미국과의 공조를 통해 러시아, 중국의 세계 원전시장 진출 확대를 견제하고 우리기업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또한,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과 함께 공개된 '팩트시트'를 보면, 해외 원전시장 공동참여 방식의 하나로 '국제원자력기구(IAEA) 추가의정서 가입 조건화'가 채택됐다.

이는 한미 양국이 제3국에 원전을 수출할 때 해당국이 IAEA 추가의정서에 가입해야만 원전을 공급하기로 하는 것으로, 이러한 공조는 정치적으로 미국의 영향력이 큰 동시에 아직 IAEA 추가의정서에 가입하지 않은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등에서 우리나라의 원전사업 참여 가능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전통적인 원전 강국인 미국의 기업들과 우수한 기자재 공급망과 더불어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1호기 상업운전을 성공시킨 우리 기업들간 최적의 해외원전 공급망을 갖추게 될 경우, 수주경쟁력 제고와 더불어 양국 원전 생태계 강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다른 일각에서는 우리 정부가 국내 대형 원전 건설을 중단한 대신 '스마트원자로'라 불리는 '중소형원자로(SMR) 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SMR 분야에서 양국간 협력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또다른 일각에서는 양국간 해외 원전사업수주 협력의 효과에 대해 회의적인 모습이다.

한국과 미국은 세계 주요 원전시장에서 이미 경쟁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올해 하반기 입찰절차가 시작될 체코 '두코바니 원전 5호기' 건설사업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미국 웨스팅하우스, 프랑스 EDF가 최종 입찰참가자로 선정돼 최종 사업자 선정을 위한 마지막 결승라운드를 앞두고 있다.

지난 1월 불가리아 정부가 경제성 부족을 이유로 최종 사업을 포기한 '벨레네 원전 2호기' 건설사업은 불가리아 정부의 사업 포기 발표 전까지 한수원과 미국 제네럴일렉트릭(GE), 프랑스 프라마톰이 수주 경쟁을 벌였고, 불가리아 정부가 그 대안으로 추진 중인 '코즐로두이 원전 7호기' 건설사업은 기존 러시아의 기자재를 사용하는 동시에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기술을 제공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전업계 관계자는 "한국이 자체개발한 차세대 원전 'APR1400'은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3세대 원자로"라며, "한국은 이미 원자로와 원전시설의 설계, 시공, 운영까지 완전한 기술을 갖추고 있다. 국내 신규 원전 건설을 중단한 채 경쟁관계인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해외 원전사업 수주 가능성을 얼마나 높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