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저유가 특수' 사라진 한전, 마땅한 실적반등 돌파구 없이 '허리띠 졸라매기'

공유
0

'저유가 특수' 사라진 한전, 마땅한 실적반등 돌파구 없이 '허리띠 졸라매기'

한국전력 나주 본사 전경. 사진=뉴시스
한국전력 나주 본사 전경. 사진=뉴시스
지난해 '저유가' 덕에 3년만에 흑자전환했던 한국전력이 올해 상반기 다시 적자로 회귀했다. 하반기에도 실적개선을 위한 뚜렷한 돌파구가 보이지 않아 한전의 고민은 깊어질 전망이다.

한전은 지난 13일 2021년 상반기 실적(연결기준)을 공시하고, 올해 상반기 매출 28조 5942억 원, 영업손실 1932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상반기 8204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한전은 1년만에 영업이익이 1조 136억 원 감소한 셈이다. 영업이익 감소의 주된 요인은 국제유가 상승으로 인한 연료비와 구입전력비 증가가 꼽힌다.

사실, 지난해 한전이 흑자를 기록할 수 있었던 이유도 코로나19 팬데믹로 인한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저유가 덕분이었다.

한전은 원전 가동률이 떨어지고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이 늘던 2017년 이래, 2018년 영업손실 2080억 원, 2019년 영업손실 1조 2765억 원을 기록하며 적자누적에 시달리다가, 지난해 저유가에 따른 연료비 절감에 힘입어 4조 862억 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해 3년만에 흑자 전환했다.

문제는 올해 하반기에도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아, 지난해 흑자전환이 '저유가 특수에 따른 반짝 실적'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경기회복으로 전력생산에 사용하는 연료비는 계속 상승하는 추세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호주 뉴캐슬 기준 전력용 연료탄 가격은 올해 초에 비해 이달 중순 2배 가까이 상승했고, 두바이유 가격은 같은 기간 34% 올랐다. 전력생산에 사용하는 액화천연가스(LNG) 가격도 같은 기간 60% 가량 올랐다.
국제 연료비가 상승하더라도 한전은 지난해 12월 연료비 변동분을 전기요금에 반영하는 '연료비 연동제'를 도입했기 때문에, 이 제도만 제대로 가동된다면 한전은 적자누적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정부는 연료비 연동제 도입 당시 삽입했던 '유보조항'을 발동해 '코로나19로 인한 국민경제의 어려움'을 이유로 지난 3월과 6월 2차례에 걸쳐 연료비 인상분 반영을 유보했다.

현재의 코로나19 확산 추이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자영업자의 경영난, 과거 2차례 정부의 유보 결정을 감안하면 올해 하반기에도 전기요금이 인상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

더욱이 업계에서는 내년 3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정부가 전기요금을 인상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보고 있다.

최근 국회 입법조사처는 '2021년 국정감사 이슈분석' 보고서에서 "올해부터 도입된 전력가격 연료비 연동제로 소비자물가는 더욱 상승할 수 있다"고 지적해 정부로서는 전기요금 인상을 억제할 또 하나의 명분을 갖추게 됐다.

여기에 더해 정부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라 석탄발전을 억제하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는데 더욱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전은 외부의 악재에 대해 뚜렷한 돌파구 없이 '허리띠 졸라매기'로 대처하는 모습이다.

한전 관계자는 "연료가격 상승영향이 향후 본격 반영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고강도 경영효율화를 통해 단위당 전력공급 비용(연료비와 전력구입비를 제외한 비용)을 매년 3% 이내로 억제하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밖에 이 관계자는 "해외 신재생사업 확대, 에너지신사업 모델 개발, 인공지능(AI)과 전력 빅데이터 기반 전력산업 밸류체인 생태계 전반의 지능화, 최적 송배전시스템 구축과 운영, 탄소중립 핵심기술 개발 등 신규수익 창출과 이익개선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말해 향후 지속가능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