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우먼·월러 총재 "0.25%p 인하하자" vs 트럼프 관세 정책 놓고 연준 내부 충돌

◇ 32년 만에 두 총재 반대표…금리 인하 압박 드러나
회의록에 따르면 미셸 보우먼 연준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과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9대 2 표결에서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지지하며 다수 의견에 맞섰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4.25~4.5% 범위에서 동결하기로 한 결정에 반대한 것이다.
두 연준 총재가 금리 결정에 반대 뜻을 밝힌 것은 1993년 이후 32년 만에 처음이다. 보우먼 부의장은 회의록에서 "인플레이션이 관세가 일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제외하고 위원회 목표에 상당히 가까워졌고, 고용시장이 완전 고용 근처에 있지만 활력이 떨어지는 징후를 보이며, 올해 경제 성장이 둔화하고 있다"고 인하 이유를 밝혔다.
7월 회의 후 보우먼 부의장과 월러 이사는 각각 별도 성명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을 방어했다. 월러 이사는 "중립 금리가 약 3%로 추정되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 수준에서 1.25~1.5%포인트씩 점차 금리를 내리는 것이 적절하다"며 "기다려보자는 접근법은 지나치게 조심스럽고 정책이 뒤처질 위험이 있다"고 주장했다.
보우먼 부의장은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은 완화를 막아서는 안 되는 일회성 충격이라고 말했다. 월러 이사는 최대 1.5%포인트의 점진적 금리 인하를 선호하며 정책을 "뒤처지게 하는" 위험을 우려한다고 밝혔다.
◇ 관세 영향 놓고 연준 내부 '생각 차이' 확산
회의록은 연준 관리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놓고 서로 다른 견해를 드러내고 있음을 보여줬다. 일부 정책 입안자들은 무역 정책이 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평가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다른 입안자들은 그런 명확성을 기다리는 것이 "실현 가능하거나 적절하지 않을 것"이라고 맞섰다.
또 다른 그룹은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통화정책의 기조에 크게 좌우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정책 대응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고용시장을 바라보는 생각도 엇갈렸다. 일부 참가자들은 "실업률이 여전히 낮고 고용률이 최대 고용 추정치와 같거나 그 근처에 있다"고 평가했다. 그런데 다른 참가자들은 임금 인상 완화와 일자리 증가 둔화가 "노동 수요 둔화를 시사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회의록에 따르면 대다수 관리들은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을 더 큰 위험으로 판단했다"고 기록됐다. 한편 일부 참가자는 두 가지 위험이 대략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고, 소수는 고용 하방 위험이 더 두드러진다고 생각했다.
이런 의견 갈라짐은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의 리더십을 비판하며 상당한 금리 인하를 촉구하는 지속적인 압력을 넣는 상황에서 일어났다. 트럼프 대통령이 첫 임기 때 의장으로 임명한 파월 의장은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지켜보고 있으며 2026년 5월에 만료되는 의장 임기를 마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보우먼 부의장과 월러 이사는 모두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인물로 후임 의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파월 의장은 지난달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보우먼·월러 총재의 주장이 "강력하고 논리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테이블 주변에서 꽤 좋은 회의였다"며 "사람들이 이것을 신중하게 생각하고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금융시장에서는 9월 16~17일 예정된 다음 FOMC 회의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83%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이는 회의록 발표 전 85%에서 소폭 내려간 수치다. 오는 22일 파월 의장이 잭슨홀 경제정책 심포지엄에서 할 연설은 9월 회의를 앞두고 연준의 정책 방향을 밝힐 추가 단서를 줄 것으로 시장에서는 보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