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헌승 의원 “전자금융 안정성 우려…카드사 IT 투자 확대해야”

글로벌이코노믹

이헌승 의원 “전자금융 안정성 우려…카드사 IT 투자 확대해야”

이헌승 의원.  사진=이헌승 의원실이미지 확대보기
이헌승 의원. 사진=이헌승 의원실
최근 5년간 전업카드사 가운데 전산장애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우리카드, 침해사고가 가장 많았던 곳은 하나카드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이헌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 부산진구을)이 24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 8월까지 8개 전업카드사에서 보고된 전산장애사고는 총 144건이었다. 카드사별로는 ▲우리카드 39건 ▲하나카드 34건 ▲KB국민카드·삼성카드 각 16건 ▲신한카드 14건 ▲롯데카드 13건 ▲현대카드 12건 순이었다.

같은 기간 침해사고는 총 4건 발생했다. 이 가운데 하나카드가 2건(2023년 7월 12일 DDoS 공격, 2025년 6월 17일 서비스 거부공격)으로 가장 많았다. 신한카드는 2021년 11월 27일 시스템 위변조 사고로 회원 73명이 1억7,739만원의 금전 피해를 입었으며, 롯데카드도 2025년 8월 12일 악성코드 사고를 겪었다.

문제는 카드사들의 정보기술(IT) 투자 축소다. 2024년 기준 8개 카드사의 회원 수는 전년 대비 1.9% 늘었지만, IT 예산은 0.6% 증가에 그쳤다. IT 예산 총액은 1조219억원으로, 우리카드(960억원)와 하나카드(841억원)는 전년 대비 각각 9.1%, 10.8% 줄었다. 삼성카드(1,685억원) 역시 6.5% 감축했다.
특히 회원 수 업계 1위인 비씨카드는 IT 예산이 775억원에 불과해 8개 카드사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최근 10년간 평균 IT 예산이 2016년 762억원에서 2024년 1,277억원으로 67.7% 증가했지만, 비씨카드는 같은 기간 519억원에서 775억원으로 49.4% 증가에 그쳐 뒤처졌다. 회원 1인당 IT 예산 집행액은 4,454원으로 업계 평균(1만775원)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이헌승 의원은 “카드사의 잦은 사고로 전자금융 서비스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단기 실적에만 치중하지 말고 IT 투자를 확대해 금융소비자 보호와 서비스 안정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