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현장에서/ 최성해 기자] 괜찮다는 증권사 부동산 PF 우발채무, 정말일까?

공유
1

[현장에서/ 최성해 기자] 괜찮다는 증권사 부동산 PF 우발채무, 정말일까?

[글로벌이코노믹 최성해 기자]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증권사 부동산 우발채무와 관련있는 증권사들의 대답은 한결같다. 규정대로 관리되고 있고, 리스크도 잘 관리되고 있으니 부실화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것이다 그 답변이 미덥지 못한 것은 이번 8.2 부동산 대책의 규제강도가 예상 밖으로 세기 때문이다.

이번 대책은 투기과열지구, 투기지역 지정을 포함해 세제•금융•청약•분양제도 등이 총망라된 등급으로 따지면 슈퍼급 규제다. 8.2 부동산 대책 이후에도 DSR(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뿐아니라 종합부동산세, 보유세, 재산세 등 추가규제도 검토중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내년부터 시행되는 재건축초과이익 환수제(1월), 양도소득세 강화(4월)와 함께 아파트 입주물량 급증(2018년 45만세대, 2019년 41만세대)이 겹치며 부동산시장 위축을 우려하고 있다.

문제는 부동산시장이 꺾이면 증권사의 우발채무에 불똥이 튈 수 있다는 것이다. 우발채무는 장래에 일정한 조건이 발생했을 경우 채무로 바뀌는 것으로 증권사의 경우 건설사가 시행사에 대해 보증한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도 여기에 속한다.

PF대출이 상당수인 우발채무 규모도 메가톤급이다. 지난해 9월말 기준으로 총23조3000억원으로 2014년 이후 20조원대에서 고공행진중이다.

증권사의 우발채무가 눈덩이처럼 늘자 신용평가사들도 부동산 경기저하시 손실부담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 같은 시장의 목소리에도 해당증권사의 반응은 딴판이다. 답변의 요지는 “과거 부동산시장 위축에도 우발채무가 한번도 부실이벤트가 발생한 적이 없다”, “동일한 규모라도 대출규모를 작게 하고 담보를 늘리는 식으로 디테일하게 관리중이다” 등이다. 되레 부동산PF의 리스크관리의 오묘한 기술을 시장이나 언론에서 잘알지 못한다고 하소연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장의 목소리는 다른 것 같다. 한 부동산 PF전문가는 "증권사는 제1금융권이나 대형건설사들이 위험하고 꺼리는 부동산PF가 많다”고 “제1금융권에서 담보로 인정하지 않는 것도 담보를 잡고, 담보비율을 부풀리는 것도 있다”고 말했다.
이쯤되니 묻는 쪽도, 답하는 쪽도 평행선을 달리는 답답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부동산규제강화로 증권사의 PF우발채무가 커지는 상황에서 시장의 우려를 해소하려면 말이 아니라 부동산PF와 관련 담보내역, 비율 등 세부적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맞다. 차별화된 리스크관리 노하우는 영업비밀일 수는 있으나 그 이유로 공개하지 않기에는 지금 부동산 규제가 엄중하고, 시장의 우려도 너무 커졌기 때문이다.


최성해 기자 bada@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