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바이오 박람회에서 세션 발표
업계 표준 대비 개발기간 20% 단축
"고객 맞춤형 전략으로 지원"
업계 표준 대비 개발기간 20% 단축
"고객 맞춤형 전략으로 지원"

삼성바이오로직스는 BIX 2025 콘퍼런스에서 16일 오후 '신약개발 가속화: 개발 가능성 평가부터 임상시험계획서(IND) 제출까지'를 주제로 한 런천 세션을 열고 고객사의 신약 후보물질 개발 일정 단축을 위한 CDO 서비스 역량을 적극 알렸다.
이날 세션은 정원 100명의 사전 접수가 빠르게 마감되며 삼성바이오로직스의 CDO 기술력에 대한 업계의 높은 관심을 방증했다.
발표를 맡은 이태희 항체배양PD팀장은 "△초기 단계 개발 가능성 평가 △리스크 기반의 화학·제조·품질관리(CMC) 계획 수립 △병렬 워크플로우 도입 등으로 품질 저하 없이도 개발 과정의 복잡성은 줄이고 개발 속도는 높였다"며 "항체의약품의 후보물질 선별부터 IND까지 소요기간을 업계 표준 10개월 대비 짧은 8개월 수준으로 단축했다"고 설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20년 자체 세포주 플랫폼 '에스-초이스'를 시작으로 지난해 출시한 고농도 바이오의약품 개발 지원 플랫폼 '에스-텐시파이'와 고농도 제형 개발 플랫폼 '에스-하이콘' 등까지 총 9개의 플랫폼을 출시했다.
이들 플랫폼은 후기 발굴 단계부터 배양·정제 등 생산과정과 제형 개발까지 의약품 개발 여정의 중요 지점마다 적재적소에서 고객사의 신약 개발을 돕고 있다.
이 상무는 이어 "연내에 자체 마스터 세포은행(MCB)까지 구축되면 개발 타임라인이 더 단축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축적된 트랙 레코드에 기반한 고객 맞춤형 전략으로 고객사가 신약 개발 중 마주할 수 있는 난제를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게 돕겠다"고 말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CDO 사업은 '민첩성, 유연성, 고객 중심'의 브랜드를 기반으로 올해 상반기까지 총 146건의 수주에 성공하며 꾸준히 성과를 내오고 있다.
최근에는 '삼성 오가노이드' 서비스를 론칭하며 CDO와 위탁생산(CMO)을 넘어 초기 발굴 단계인 임상시험수탁(CRO) 서비스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하는 위탁연구개발생산(CRDMO) 전략도 내놨다. 의약품 개발 초기 단계부터 고객사와 협력을 시작함으로써 '조기 록인' 효과를 거둔다는 구상이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 BIX에서 2년 연속 단독 부스를 마련하며 고객사의 모든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엔드-투-엔드' 서비스 역량도 적극 알렸다. 글로벌 수위의 생산능력을 유지하기 위한 오는 2032년 132만4000ℓ의 생산능력 확보 목표뿐 아니라 항체·약물접합체(ADC)와 아데노부속바이러스(AAV) 등 다양한 모달리티 서비스 역량을 강조했다. 올해 BIX 행사는 오는 17일까지 사흘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다. 약 300개 기업과 1만2000명 이상의 관람객의 참여가 예상된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