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 624억원 전년 대비 3.5% 증가…시장 컨센서스 상회
글로벌 부문 약진…영업이익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증가
“신흥 시장서 경쟁력 확보…생산능력 확대로 성장 기반 구축”
글로벌 부문 약진…영업이익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 증가
“신흥 시장서 경쟁력 확보…생산능력 확대로 성장 기반 구축”

5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롯데칠성의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62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5% 증가하며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음료 부문은 매출액이 4919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동기 대비 8.5%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237억원으로 33.2% 줄어들었다.
내수 소비 부진과 비우호적인 날씨, 오렌지 및 커피 등 원재료비 부담, 고환율에 따른 대외환경 악화 그리고 이어지는 사업경비 부담 등 복합적인 어려움이 영향을 미쳤다. 탄산, 커피, 생수, 주스, 스포츠음료 등 주요 카테고리에서 대부분 감소세를 보였다.
주류 부문도 음료와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주류 부문의 올해 2분기 매출액 1891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2분기보다 6.5%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29억원으로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2% 하락했다.
경기 침체, 고물가 등으로 소비심리 위축이 이어지며 내수 전 영역에서 매출이 줄었다.
이에 반해 주류 수출은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의 ‘순하리’ 및 소주류 제품 중심으로 선전한 가운데 수출 실적이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5.9% 증가했다.
각 부문의 수출 호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글로벌 부문에서는 확실한 성과를 거뒀다. 국내 부진을 만회하고 롯데칠성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글로벌 부문의 올해 2분기 실적은 매출액 443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5.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35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0.0%나 증가했다.
필리핀 법인은 경영 효율화 일환인 피닉스 프로젝트(Phoenix Project)를 전개하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대비 6.1%, 32.6% 상승했으며 미얀마 법인은 미얀마 정부에 의한 수입통관 지연 문제가 해결됨에 따라 매출이 지난해 2분기 대비 67%, 영업이익은 137.6%나 증가했다. 파키스탄 법인 역시 매출이 전년 비 40억원, 영업이익이 5억원 증가했다.
글로벌 부문은 하반기 신흥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고자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성장을 위한 보틀러(Bottler) 사업 지역 확대를 통해 글로벌 미래 성장을 위한 동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음료는 다음 세대 탄산을 준비하고, 밸류업 TF를 통해 건강 지향 음료를 강화할 계획이다.
음료 부문은 상반기에 확대되는 제로(Zero)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펩시 제로슈거 모히토향’과 ‘탐스 제로 사과’, ‘탐스 제로 파인애플’, ‘칠성사이다 제로 오렌지’를 출시한 바 있다.
특히, 일상에서 간편하고 맛있게 영양을 섭취하며 건강을 챙길 수 있도록 식물성 음료 ‘오트몬드’ 2종과 단백질 함량을 높인 ‘오트몬드 프로틴’ 3종도 함께 출시했다.
롯데칠성 관계자는 “주류의 경우 포트폴리오 내실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귀띔했다. 매출이 상승해온 제품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주류 부문은 1분기에 논알콜릭 맥주 ‘클라우드 논알콜릭’을 선보였으며, 4월에는 ‘새로 다래’ 출시와 증류식 소주 ‘여울’의 리뉴얼을 진행했다. 2분기에는 ‘처음처럼’도 리뉴얼을 단행했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필리핀 법인의 생산 효율화로 인한 비용 감소와 미얀마의 견조한 수요가 지속되면서 해외 자회사 실적 개선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또한, 국내 시장은 민생 회복을 위한 소비 쿠폰 지급과 폭염에 따른 음료 판매 증가로 3분기부터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