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저축은행 노다지 퇴직연금 시장 '후끈'

공유
0

저축은행 노다지 퇴직연금 시장 '후끈'

퇴직대비는 물론 위험보장까지···저축은행, 퇴직연금 수신 20조 돌파

저축은행이 퇴직연금 시장에 진출한지 3년 만에 수신 잔액이 20조원을 뛰어넘을 정도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사진=저축은행중앙회이미지 확대보기
저축은행이 퇴직연금 시장에 진출한지 3년 만에 수신 잔액이 20조원을 뛰어넘을 정도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사진=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이 퇴직연금 시장에 진출한지 3년 만에 수신 잔액이 20조원을 뛰어넘을 정도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시중은행 대비 높은 금리 경쟁력이 저축은행 퇴직연금 수요 증가를 이끈 주요인으로 풀이된다.

12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 32개사의 퇴직연금 수신 잔액은 지난해 4분기 기준 20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13조4000억원) 대비 56% 증가한 수치다. 2019년 4분기(6조7000억원)와 비교하면 무려 212% 급증했다.
금융당국이 2018년 DC형 퇴직연금과 IRP에 저축은행 예·적금을 포함하도록 퇴직연금감독규정을 개정한 데 따른 결과다. 규정 개정 이후 퇴직연금을 판매하는 저축은행 수는 2018년 23개사에서 2021년 32개사로 매년 늘고 있다.

지난해 퇴직연금 수신 잔액 증가세가 두드러진 곳은 SBI저축은행이었다. SBI저축은행의 퇴직연금 수신 잔액은 지난해 말 1조6700억원으로, 전년(1조1000억원) 대비 52% 증가했다. 같은 기간 페퍼저축은행 퇴직연금 수신 잔액은 2조1000억원에서 2조5000억원으로 19% 늘었다. OK저축은행의 퇴직연금 수신 잔액은 2020년 말 2조원에서 지난해 말 2조2000억원으로 10% 증가했다.

금리 경쟁력이 저축은행 퇴직연금 수요 확대를 이끄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다. 저축은행의 3년 이하 DB형 퇴직연금 금리는 2% 중·후반대다. 높은 금리 혜택을 준다. 또한 1년 이하의 DC형, 개인형 IRP 퇴직연금 상품에 대해서도 저축은행들은 2% 중반의 비교적 높은 금리를 제공한다.

DC형 퇴직연금과 IRP에 포함된 저축은행 정기 예·적금의 경우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원리금이 5000만원까지 보장된다. 이점 역시 저축은행 선호도 증가 요인이다. 가입자가 직접 상품을 선택해 투자할 수 있고, 두 개의 저축은행에 5000만원씩 총 1억원을 나눠 넣으면서 예금자 보호도 받을 수 있다.

가입자 뿐만 아니라 저축은행 입장에서도 퇴직연금은 매력적 시장이다. 증권사, 은행, 자산운용사 등을 통해 자금 유치 형식으로 운영하는 만큼 판매 관리비를 포함한 비용 일체를 줄일 수 있다. 통상 퇴직연금이 일반 예·적금보다 오랜 시간 유지되므로 자금 운용의 안정성 확보에도 장점이다.

저축은행업계에서는 향후 새 정부에서 국민연금 개혁이 단행한다면 퇴직연금 등 사적연금 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본다. 여기에 최근 금융당국이 예금자보호한도 확대 논의를 하고 있어 저축은행의 퇴직연금 시장 진출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퇴직연금이 장기적으로 운영되는 상품이다 보니 유동성 관리 측면에서 일반 금융 상품보다 유리한 점이 있다"며 "사회초년생인 경우 목돈을 꾸준히 모아서 연금으로 운용한다면 중장년 이후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금액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도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ohee194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