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예금 평균 금리 4% 재돌파

금리 인상기에 구조적인 이유로 예대금리차(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를 확대할 수 없는 저축은행들은 예금금리 인상이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이를 감수하더라도 수신고 이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7일 저축은행중앙회 공시에 따르면 전날 기준 79개 저축은행의 정기예금(1년 만기) 평균 금리는 4.0%로 집계됐다. 저축은행 정기예금 평균 금리가 4%대로 올라선 건 지난 2월 17일(3.99%) 이후 약 4개월 만이다.
OK저축은행의 'OK e-안심앱플러스정기예금'의 금리가 연 4.51%로 가장 높았고, 이어 페퍼저축은행의 '회전정기예금'이 연 4.5%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10월 20일 저축은행 업계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5.15%까지 오르면서 5%대에 진입했다. 5%대 금리는 올해 1월 19일(5.03%)까지 이어졌는데 고금리로 유치한 예금들의 만기가 불과 4개월 밖에 남지 않았다. 시장금리가 낮아지면서 만기 때 고금리를 주지 못하면 이 자금은 저축은행을 이탈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저축은행의 건전성이 흔들리면서 예금을 맡기기 꺼려하는 금융소비자가 늘어난 것도 문제다.
올해 3월 말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은 지난해 말보다 1.7% 상승한 5.1%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16년 말 5.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자산 규모 상위 저축은행들의 연체율 상승이 눈에 띈다. OK저축은행 연체율은 6.38%로 5개사 중 가장 높았고 이어 페퍼저축은행(5.82%), 웰컴저축은행(4.42%), 한국투자저축은행(3.61%), SBI저축은행(3.36%) 순이었다.
은행의 예금금리가 오르고 있다는 점도 저축은행들의 예금금리 인상을 자극하는 요인이다. 전날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 1년 만기 정기예금상품 평균 금리(단리·최고우대금리 기준)는 3.728%로 저축은행 업계 평균 금리와 불과 0.28%포인트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문제는 예금금리 인상으로 저축은행의 수익성이 더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저축은행 업계는 올해 1분기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다. 각사 공시에 따르면 SBI·OK·한국투자·웰컴·페퍼·애큐온·다올·상상인·모아·신한저축은행 등 자산 규모 상위 10개 저축은행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 합계는 전년 동기(2399억원) 대비 96.1% 급감한 92억원으로 집계됐다.
실적 악화는 고객에게 받은 이자수익 보다 지급해야 할 이자비용이 더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들 10개 저축은행의 이자수익은 1년 새 20.5%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이자비용은 같은 기간 137.7% 증가했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 고금리로 유치한 예금이 만기가 다가오고 있어 선제적으로 수신고를 유치할 필요성이 커졌다"면서 "예금과 채권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은행과 달리, 예금으로만 자금을 조달하는 저축은행들은 예금금리를 올려 자금을 끌어 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