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3분기도 우리나라 가계 빚 규모는 14조원 넘게 늘어나면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가계가 고금리에도 부동산 경기 회복을 기대하고 '빚투'(빚내서 투자)에 나선데다 여행·여가 등이 늘면서 신용카드 사용액도 늘린 탓이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23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75조6000억원으로 3개월 전(1861조3000억원)보다 0.8%(14조3000억원) 증가했다.
2021년 4분기(+17조4000억원) 이후 1년 9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으로 잔액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4조5000억원 증가하면서 3분기 만에 증가 전환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빚(부채)'을 말한다.
가계신용은 금리 인상 등 통화 긴축의 영향으로 지난해 4분기(-3조6000억원)와 올해 1분기(-14조4000억원) 2개 분기 연속 뒷걸음쳤지만, 2분기(+8조2000억원) 반등한 뒤 3분기에 역대 최대치를 다시 썼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빼고 가계대출만 보면, 9월 말 잔액이 1759조1000억원으로 3개월 전(1747조4000억원)보다 11조7000억원 증가했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끈건 주택담보대출(주담대)다. 주담대 잔액은 3개월 새 17조3000억원 급증하면서 1049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직전 분기에 이어 최대 잔액 기록을 또 경신했고 증가 폭도 2분기(+14조1000억원)보다 더 커졌다.
하지만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잔액 710조원)은 5조5000억원 줄어 8개 분기 연속 감소세가 유지됐다. 이는 고금리로 원리금 부담이 커진 가계가 주담대로 부동산 투자는 늘렸지만 신용대출은 상환하고 있는 경향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3분기 가계 판매신용(116조6000억원)은 3개월 전보다 2조6000억원 늘면서 세 분기 만에 증가 전환했다. 여행·여가 수요가 늘면서 신용카드 이용 규모도 커졌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서정석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3분기 신용대출 등 기타 대출의 감소세는 이어졌지만, 주택 경기 회복과 함께 주택담보대출이 늘고 판매신용도 세 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되면서 전체 가계 신용 규모가 커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은은 9월부터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 폐지 등 당국의 가계대출 규제가 강화된 만큼 4분기는 증가세가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서 팀장은 "최근 금리 상승으로 주택시장 관망세가 확산하고 있는데, 향후 가계신용도 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 정책의 효과도 시차를 두고 가시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성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sh12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