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외이사 ‘겹치기’ 근무·강남 아파트 갭투자 관련 의혹 부인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2일 “가계부채 관리에 대한 일관되고 확고한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운영 등으로 자본시장 불공정거래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도 드러냈다. 다만 금융당국 조직개편에 따른 금융위원회 해체론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여야는 이 후보자의 사외이사 ‘겹치기’ 근무 의혹, 부동산 갭투자(전세 끼고 매매) 의혹 등 공방으로 자질 검증을 이어갔다.
이 후보자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후보자는 모두발언을 통해 “6·27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필요할 경우 추가 대책도 즉각 시행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민성장펀드 조성을 통한 첨단전략사업 투자 대응, 금융산업의 제도·규제·감독 개선 방안을 언급했다.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 운영 등으로 자본시장 불공정거래에 대응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금융위가 나아갈 역할을 묻는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는 “우리 경제는 저성장·양극화로 구조적 위기에 놓였는데 금융은 부동산·예금 등 너무 안전한 방향을 (모색했다)”면서 “금융도 부가가치를 높여 한국 경제와 동반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당국 조직개편에 따른 금융위 해체 가능성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이 후보자는 관련 질문이 들어오자 “언급이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여야는 이날 정부조직법 개편안이 오는 25일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될 가능성을 놓고 공방을 벌였다. 국민의힘은 금융위 해체가 정해졌다면 인사청문회가 의미 없다고 지적했으며, 이에 민주당은 금융위 해체는 결정되지 않았으니 청문회를 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에 청문회가 시작된 지 10분 만에 정회하기도 했다.
한편 이 후보자의 자질 검증을 위한 질문도 쏟아졌다.
기획재정부 차관 퇴임 후 사외이사 3개를 ‘겹치기’ 근무해 3년간 6억 원의 소득을 얻었다는 의혹과 관련, 이 후보자는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취업심사를 받아 근무했다”면서 “중복 근무는 하지 않았으며 보수는 회사의 내부 규제에 따라 받았다”고 해명했다.
강남 노후 아파트를 갭투자해 약 40억 원의 부동산 시세차익을 챙겼다는 논란에 대해선 “(사전에 개발 정보를 입수한 사실이) 전혀 없다”면서 “평생 집 한 채로 살았고, 해외로 나갈 때 두 번 집을 옮겼으며 지금 그 집에 평생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