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경연,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고용유발효과 2020년 7만명 추정"

글로벌이코노믹

한경연,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고용유발효과 2020년 7만명 추정"

자료 : 한국경제연구원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 한국경제연구원
[글로벌이코노믹 김대성 기자]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산업의 고용유발효과가 2020년 약 7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또 생산유발액은 약 10조1000억원, 부가가치유발액은 3조2000억원으로 분석됐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0일 '스마트광고산업 발전의 장애요인 및 개선방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LED나 LCD 등 디스플레이를 활용해 각종 정보와 광고를 제공하는 영상정보디스플레이장치로 SNS 서비스나 웹과 연동함으로써 개인화된 컨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양방향 융합커뮤니케이션 매체로 진화하고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광고시장 규모는 10조7000억원으로 2012년 9조4000억원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특히 디지털기술 융복합이 용이한 매체의 성장세가 두드려졌다.
모바일 광고의 경우 2012년 2100억 원에서 2015년 1조2800억원으로 3년간 6배 이상 늘어났다. 반면 인쇄매체 중 신문광고는 2012년 1조6500억원에서 2015년 1조5000억원으로 약 9% 감소했다.

이외에도 방송 지상파 TV광고는 2012년 1조9300억원에서 2015년 1조9700억원으로 소폭 상승한데 그쳤다. 또 옥외광고의 경우 지하철, 버스 등 교통수단을 활용한 광고가 전반적인 하락세로 나타난데 반해 쉘터(버스정류장)광고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연 평균 20.7% 상승했다.

지난해 12월 미래창조과학부는 국내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이 2016년 현재 약 2조5500억원에서 2020년 3조9700억원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를 근거로 한경연이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2020년 고용유발효과는 약 7만명, 생산유발액은 약 10조1000억원, 부가가치유발액은 3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김영신 한경연 연구위원은 “최근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해 상호작용이 가능한 변형광고가 등장하면서 디지털기술 융복합이 용이한 쉘터광고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김대성 기자 kim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