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참여혁신위원회는 2022년 12월 출범한 이후 하남시의 주요 정책과 현안을 대상으로 발전전략을 제안해온 자문기구로, 일자리·도시개발·교통·복지문화·교육 등 5개 분과의 전문가와 시민대표가 참여하고 있다.
위원회는 지난 6월 선정된 하반기 과제의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7월부터 9월까지 분과별 회의와 벤치마킹을 진행, 실현 가능한 행정자문안을 도출했다.
일자리분과는 ‘AI 기술을 활용한 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며 기업 중심의 AI 연계정책 수립과 교육 플랫폼 도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를 방문해 AI 활성화 정책 사례를 벤치마킹했다.
교통분과는 ‘황산사거리 주변 진출입도로 개설’에 대한 교통체계개선 기본계획 용역 추진 방향을 검토하고, 효과분석과 주민의견을 바탕으로 한 단계적 시행을 제안했다.
복지문화분과는 ‘하남시 대표 지역축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여주오곡나루축제 등 타 지자체의 축제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축제 콘텐츠 발굴·예산 확대·방문객 편의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해당 자문은 2025 하남이성산성문화제 전야제 운영에 반영돼 상인회 협업 및 위생관리 강화로 성공적인 개최를 이끌었다.
교육분과는 ‘어린이 영어도서관 건립 및 특화 콘텐츠 마련’을 주제로 송파·강남 영어도서관을 벤치마킹하고, 2026년 개관 예정인 하남시 어린이영어도서관의 차별화된 운영 콘셉트와 시민참여형 프로그램을 제안했다.
한편, 시민참여혁신위원회는 지난 3년간 일자리·도시개발·교통 등 5개 분야에서 총 20건의 정책 자문안을 시정에 반영하고, 74건의 서면 자문을 통해 현안 해결에 기여했다.
특히 교육분과는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하이런(Hi-Learn)’ 온라인 통합교육 플랫폼 구축 자문을 진행해, 경기도 내 유일한 맞춤형 온라인 학습 서비스로 자리 잡게 했다.
이현재 하남시장은 “시민참여혁신위원회가 정책 설계의 동반자로서 하남의 변화를 이끄는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시민과 함께 성장하는 행정을 통해 더 나은 하남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이지은 문재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h690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