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과 전자제품, 전기차 포함...27억~28억달러 세수증대 예상

이들 정부소식통들에 따르면 관세인상은 인도제조업체들을 지원해 자립하는 인도경제의 확립을 지향하려는 나렌드라 모디 정권의 정책 일환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인도경제가 침체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관세인상으로 약 2000억~2100억루피(27억~28억달러)의 세수 증대가 예상된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인도 재무부가 오는 2월 1일 발표할 2021~2022년도(2021년4~2022년3월) 예산안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냉장고와 에어컨 등도 관세인상 대상에 포함된다.
인도는 최근 수년간 외국인 투자를 배재하는 것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산업계는 지적했다.
한편 인도정부는 인도 현지산업의 발전과 인도기업 지원에는 수입관세 등이 불가결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지난해는 구도와 가구, 완구, 전자제품 등 폭넓은 수입품을 대상으로 관세를 최대 20%나 인상했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