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엔화 약세 막기 총력전...日정부·BOJ, 시장 개입·금리 인상 가능성 시사

공유
0

엔화 약세 막기 총력전...日정부·BOJ, 시장 개입·금리 인상 가능성 시사

일본, G7 회의에서 엔화 약세 억제 노력 재개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2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일본, G7 회의에서 엔화 약세 억제 노력 재개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2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사진=뉴시스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BOJ)이 최근 엔화 가치 하락을 막기 위한 노력을 재개했다. 지난 주말 이탈리아에서 열린 G7 재무장관 회의에서 일본은 환율 안정을 위한 국제 공조를 요청했고, G7은 과도한 환율 변동성에 대한 경고를 재확인했다.

27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외환시장 개입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칸다 마사토 재무관은 "과도한 엔화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언제든지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BOJ도 통화정책 정상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최근 경기 지표 부진에도 불구하고 "일본 경제가 적당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기존 견해를 유지하며,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시장에서는 BOJ가 이르면 올해 3분기나 4분기에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부 분석가들은 BOJ가 엔화 약세를 막기 위해 채권 매입 규모를 축소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BOJ는 엔화 약세를 막기 위해 통화정책을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고 있다. 우에다 총재는 "시장이 장기 금리를 결정한다"며 최근 일본의 장기 금리 상승에 대해서도 언급을 자제했다.

전문가들은 BOJ가 엔화 약세를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수단을 강구하고 있지만, 엔화 가치 하락을 막을 수 있다는 보장은 없다고 지적한다. BOJ의 정책 변화가 엔화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으며, 엔화 약세는 글로벌 경제 상황과 미국 금리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와 BOJ의 엔화 약세 억제 노력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