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틱톡 매각 시한 6월 19일 이후로 연장 가능성 시사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틱톡 매각 시한 6월 19일 이후로 연장 가능성 시사

"미·중 관세 분쟁과 틱톡 협상 연계" 관측... "틱톡은 보호될 것" 언급
중국 바이트댄스, 미국 자산 매각 협상 중... 민주당 의원들 법적 권한 문제 제기
한 여성이 도널드 트럼프의 틱톡 페이지를 보여주는 스마트폰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한 여성이 도널드 트럼프의 틱톡 페이지를 보여주는 스마트폰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틱톡의 미국 자산 매각 시한인 6월 19일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기한을 더 연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 바이트댄스가 소유한 인기 동영상 앱 틱톡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더 장기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5일(현지시각) 일본의 경제신문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NBC 뉴스 프로그램 '크리스틴 웰커와 언론을 만나다'와의 인터뷰에서 "6월 19일까지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면 기한을 연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2024년 대선에서 틱톡이 젊은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는 데 도움이 됐다며 "틱톡은 매우 흥미롭지만 보호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올해 1월에 발효될 예정이었던 의회의 틱톡 금지 조치 집행을 두 차례 유예한 바 있다.

당초 틱톡의 미국 사업을 미국에 본사를 두고 미국 투자자들이 대주주로 운영하는 새로운 회사로 분사하는 거래가 추진됐으나, 트럼프가 중국산 제품에 145% 관세를 부과한 이후 중국이 승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협상이 중단된 상태다.
바이트댄스의 미국 투자자들과 가까운 소식통에 따르면, 6월 19일 시한을 앞두고 협상은 계속되고 있으나 백악관과 중국이 먼저 관세 분쟁을 해결해야 진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민주당 상원의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시한을 연장할 법적 권한이 없다고 주장하며, 현재 논의 중인 합의안이 법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트럼프는 N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합의에 도달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면서 중국산 제품에 대한 145% 관세가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언급했다.

그는 중국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해 당장 관세를 낮추지는 않겠지만, 최종적으로는 더 광범위한 합의의 일환으로 관세를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어느 시점이 되면 관세를 낮출 것인데, 그렇지 않으면 그들과 사업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은 사업을 매우 원한다"고 트럼프는 말했다.

현행법에 따르면, 틱톡은 바이트댄스가 미국 자산 매각을 완료하지 않는 한 지난 1월 19일까지 운영을 중단해야 했다. 그러나 트럼프는 1월 20일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후 이를 시행하지 않기로 결정했으며, 마감 시한을 4월 초에서 다시 6월 19일로 연장했다.

미국 내 약 1억 7천만 명이 사용하는 틱톡의 운명은 미·중 관세 분쟁의 진행 상황과 맞물려 향후 두 달간 주목받을 전망이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