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중 무역 휴전, 중국 석탄 발전 반등 촉발... 재생에너지 '기록'에도 기후 우려 커져

글로벌이코노믹

미중 무역 휴전, 중국 석탄 발전 반등 촉발... 재생에너지 '기록'에도 기후 우려 커져

90일 관세 유예, 컨테이너 예약 277% 급증... 풍력·태양광 용량 사상 첫 화력발전 추월에도 1분기 전력 수요의 22.5%만 충족
관세 전쟁이 소강 국면으로 흘러가면서 중국 제조업이 다시 활기를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석탄 화력 에너지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관세 전쟁이 소강 국면으로 흘러가면서 중국 제조업이 다시 활기를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석탄 화력 에너지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사진=로이터
최근 미국과 중국이 90일간의 관세 유예에 합의하면서 양국 간 해상 운송 예약이 277% 급증하는 등 글로벌 제조업과 물류 시장이 급격히 반등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중국의 풍력·태양광 발전 설비 용량이 사상 처음으로 화력 발전 용량을 앞질렀지만, 실제 발전량과 전력 수요 충족 면에서는 여전히 석탄 등 기저부하 발전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아 기후 운동가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난 15(현지시각) 오일프라이스가 보도했다.

무역 휴전 효과, 제조업·물류 급반등... 컨테이너 예약 277% 폭증

미국과 중국은 최근 90일간 서로 부과한 고율 관세를 대폭 인하하는 데 합의했다. 이에 따라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는 30%, 미국산에 대한 중국의 관세는 10%로 각각 낮아졌다. 이 조치는 지난 12일 공식 발표됐으며,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완화되면서 해운업계와 제조업 현장에 즉각적인 반등 효과를 불러왔다.
컨테이너 추적 서비스업체 비전(Vizion)에 따르면, 합의 직후 중국에서 미국으로 향하는 컨테이너선 예약이 1주일 만에 277% 급증했다. 55일로 끝나는 주 기준 예약 건수는 5709TEU(20피트 컨테이너 단위)에서 21530TEU로 치솟았다. 업계에서는 "8월 관세 유예 마감 전까지 조기 물량 선적(프론트로딩) 현상이 재개될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이 같은 무역 반등은 곧 제조업 생산 확대와 전력 수요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중국 산업의 재가동이 본격화되면 전력 소비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기저부하 발전 비중 역시 다시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풍력·태양광 설비 '사상 첫' 화력 발전 추월... 실제 발전량은 22.5% 그쳐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올해 1분기 기준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설비 누적 용량이 1482GW에 도달해, 화력발전(1451GW)을 사상 처음으로 넘어섰다고 밝혔다. 풍력·태양광 설비가 전체 발전 설비의 50% 이상을 차지한 것이다.

하지만 실제 발전량과 전력 수요 충족 수준에서는 여전히 한계가 뚜렷하다. 기후 싱크탱크 엠버(Ember)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풍력과 태양광 발전량은 전체 전력 공급의 39%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 중 실제 전력 수요 충족률은 22.5%에 머물렀다. 풍력 발전량은 307TWh(13%), 태양광 발전량은 254TWh(10%)로 각각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8~48% 증가한 수치다.

엠버는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급증은 제조업 둔화로 인한 전력 수요 감소가 일시적으로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올해 1분기 중국의 총 전력 수요는 1.3% 감소했으나, 3월 들어 1.8% 증가세로 전환됐다. 업계에서는 "무역 휴전 이후 산업 활동이 본격 회복되면, 수요 증가분을 재생 에너지로만 충당하기 어렵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라고 이 매체는 보도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는 에너지 안보와 경제 성장을 최우선 정책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국가에너지국은 최근 발표한 '2025년 에너지 부문 업무 지침'에서 화석에너지의 기저 에너지원 역할을 재확인하며, "급변하는 국제 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자원조달 전략을 다각화한다"고 밝혔다.

석탄 발전 '구조적 쇠퇴' 주장에도... 2027년까지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 지속

중국 정부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화석연료 제한 선언에 따라 2026~2030년 사이 석탄 사용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겠다고 밝혀왔다. 그러나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지난 4월 발표한 '2025~2027년 차세대 석탄화력 발전 업그레이드 방안'에서, 전력망 안정과 피크 수요 대응을 위해 2027년까지 석탄화력 발전소 건설을 계속 추진한다고 명시했다.

발개위는 "신규 석탄발전소는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을 보조하는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 신규 설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24년 대비 10~20% 감축하고, 기존 발전소도 저탄소 개조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중국 석탄 관련 단체는 "석탄 소비 피크가 2028년 이후에야 도래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지난해 중국의 신규 화력발전소 착공 규모는 94.5GW에 달했으며, 2024년 신규 착공된 화력발전소 용량만 100GW에 이른다. 이는 재생 에너지 확대와 별개로, 석탄 발전이 여전히 전력망 안정과 경제 성장에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재생 에너지 '양적 성장' 불구, 기저부하 발전 의존 여전... 기후 목표 달성 우려

중국은 2030년 탄소배출량 정점 도달, 2060년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최근 미중 무역 휴전으로 촉발된 산업 반등과 전력 수요 증가는, 재생 에너지 설비의 양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석탄 등 기저부하 발전에 대한 의존이 구조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다시 한번 보여준다.

시장에서는 "풍력·태양광 설비가 화력발전 용량을 넘어섰지만, 송전 인프라의 병목 현상과 날씨에 따른 발전량 변동, 필요할 때 즉시 공급할 수 있는 전력(즉시 대응 전력) 제공의 한계로 인해 실제 발전량과 전력 수요 충족률은 여전히 낮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제조업이 회복되고 여름철 전력 사용이 가장 많은 시기(최대 수요 시기)가 겹칠 경우, 석탄과 가스 발전의 비중이 다시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지배적이다.

이 같은 구조적 현실은 중국의 기후 목표 달성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더욱 키우고 있다. 업계에서는 "재생 에너지 확대와 석탄 발전 의존의 이중구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