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시진핑·푸틴 '150세 장수' 발언 논란…중국, CCTV 영상 삭제 압박

글로벌이코노믹

시진핑·푸틴 '150세 장수' 발언 논란…중국, CCTV 영상 삭제 압박

중국이 글로벌사우스 결집 선언하며 미국 중심 국제질서 도전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5년 9월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2차 세계대전 종전 8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군대를 시찰하기 위해 차에 서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5년 9월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2차 세계대전 종전 8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군대를 시찰하기 위해 차에 서 있다. 사진=로이터
지난 6(현지시각) 알자지라와 르몽드 보도에 따르면,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은 지난달 31일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50세 장수와 장기이식을 주제로 나눈 대화 영상에 대해 로이터 통신에 법적 허가를 철회하고 삭제를 요구했다.

또한, 중국 톈진에서 열린 제25차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는 중국이 주도하는 새로운 국제질서 구축 의지를 명확히 드러냈다.

◇ 중국, 시진핑-푸틴 '150세 장수' 영상 삭제 압박

알자지라 보도에 따르면, CCTV 법무팀은 서면 요청을 통해 로이터가 "계약의 사용 조건을 넘어서고 이 자료에 적용한 편집 처리"에 대해 비판하며 해당 영상의 삭제를 요구했다고 로이터가 밝혔다. 4분짜리 영상은 시진핑 주석과 푸틴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베이징에서 걷는 동안 장기이식과 150세 수명 연장 가능성을 논의하는 모습을 담았다.
영상에서 푸틴의 통역사는 "생명공학은 계속 발전하고 있다. 인간의 장기는 계속 이식할 수 있다. 오래 살수록 젊어지고 불멸을 이룰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시진핑 주석은 "이번 세기에 인간이 150세까지 살 수 있다고 예측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답했다.

CCTV 측은 해당 영상이 "허가한 피드에 포함한 사실과 진술에 대해 명백히 잘못 진술했다"고 주장했으나 구체적 반대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로이터는 저작권 허가가 철회됨에 따라 웹사이트에서 영상을 삭제했지만 "우리가 게시한 내용의 정확성"을 지지한다며 어떤 잘못도 부인했다.

SCO 정상회의, 글로벌사우스 결집 공식화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일까지 톈진에서 열린 제25SCO 정상회의는 중국이 주도하는 새로운 국제질서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시진핑 주석은 환영만찬 연설에서 "SCO가 글로벌사우스(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의 힘을 모아 인류 문명 발전에 더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선언했다고 르몽드는 보도했다.

이번 정상회의에는 중국, 러시아, 인도, 이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벨라루스, 타지키스탄 등 10개 정회원국 외에도 이집트, 말레이시아, 터키 등 약 15개 파트너국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참석했다.

◇ 미국 견제하며 대안 질서 구축

SCO 회원국들은 '톈진 선언'을 통해 "세계무역기구(WTO) 규칙과 원칙을 어기는 경제 조치를 포함한 일방적이고 강압적 조치에 반대한다""글로벌 공급망의 안정성을 해치는 조치에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인 왕이는 "우리는 한결같이 다자주의를 이행할 것"이라며 "유엔이 국제체제의 핵심 역할을 하도록 지지하고, 질서 있는 세계 다극화와 포용적 경제 세계화를 제창하겠다"고 강조했다.

르몽드는 이번 정상회의가 "중국의 힘 증가와 미국 패권의 쇠퇴를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국제 질서"를 드러낸다고 분석했다. 연구원 스테파니 발메와 크리스토프 자플레로는 "2차 세계대전 이후 80년간 미국이 세계를 이끌어왔지만, 최근 미국이 다른 나라들과 무역 갈등을 벌이며 세계 무대에서 물러나고 있다""이런 상황에서 중국이 인도와 손을 잡고 미국 없는 새로운 세계 질서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시진핑 주석은 노자를 인용하고 "굴욕의 세기"의 끝을 강조함으로써 남반구의 지지를 얻고자 한다고 분석됐다. SCO 정상회의 이후 3일 베이징에서 열린 제2차 세계대전 종전 80주년 기념 열병식은 중국의 군사력을 과시하며 북중러 3국 정상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이는 장면을 연출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