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권 되찾겠다"던 약속, 이민자 급증으로 '공허한 외침'…'르완다 추방 정책' 등 난항
'카레 하우스' 캠페인, 내러티브 조작…英 진정한 영연방 존재 외면, 인종 갈등 심화
'카레 하우스' 캠페인, 내러티브 조작…英 진정한 영연방 존재 외면, 인종 갈등 심화

'통제권을 되찾고' 영연방과 재조정하겠다던 브렉시트는 제국의 향수에 기대어 국민들을 설득했지만, 오늘날 영국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순 이주, 난항을 겪는 르완다 추방 정책, 그리고 인종, 기억, 잘못된 정보가 뒤얽힌 골치 아픈 유산에 직면해 있다고 7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2016년 국민투표 캠페인에서 브렉시트 지지자들은 영국이 EU라는 족쇄에서 벗어나 '진정한 친구'인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와 재조정하는 매혹적인 그림을 그렸다.
이들은 이들 국가를 '올드 커먼웰스'라고 부르며, 영국의 가치를 공유하는 백인 다수 파트너로 묘사했다. 이는 식민지 시대의 렌즈를 통해 영연방을 걸러내고, 디아스포라의 현실을 외면한 채 '백인성'을 선택적으로 강조한 내러티브였다.
그러나 정책 결과는 이와 달랐다. 브렉시트 이후 이민 개혁은 고소득 지원자, 기술 근로자, 그리고 백인이 다수인 국가 출신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파텔이 옹호했던 영연방 요리사와 중소기업 노동자들은 계속해서 비자 규제에 막혔다.
2024년에는 가족 비자 제한 강화와 비자 비용 상승이 남아시아 이민자들에게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브렉시트 캠페인이 구애했던 바로 그 커뮤니티를 약화시켰다.
영연방은 선거 운동에서 단순한 지정학적 실체가 아니었다. 그것은 '결과 없이 제국을 불러일으키는' 강력한 신화적 장치였다. 정치인들은 이를 글로벌 우정의 상징으로 내세우며, 브렉시트 이후 영국의 이주와 소속감을 형성하는 구조적 불평등을 모호하게 만들었다.
나이젤 패라지(Nigel Farage)와 같은 포퓰리즘 지도자는 영국이 유럽보다 "영어권 인도와 호주"와 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며, 인도의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단순한 '언어적 사촌'으로 전락시켰다.
2024년 총선에서 보수당은 큰 손실을 입었고, 노동당이 집권했다. 하지만 새로운 지도부 아래에서도 구조 개혁은 더디다. 이민 관측소 보고서(2024)에 따르면, 2023년 영국의 순 이주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브렉시트 지지자들이 내세웠던 '통제된 국경'이라는 비전과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결론적으로, 브렉시트 캠페인에서 영연방은 단순한 정책적 의제가 아니라, 대중의 기억을 조작하고 현실을 왜곡하는 '부드러운 잘못된 정보'의 도구로 무기화되었다. 오늘날 영국은 국경뿐만 아니라, 그 국경 안에 속한 사람에 대한 이야기에 대한 심판에 직면해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