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 세관 통관 보류 여파…한화큐셀, 조지아공장 일시 축소 운영

글로벌이코노믹

美 세관 통관 보류 여파…한화큐셀, 조지아공장 일시 축소 운영

현지 직원 1000명 임금·근로시간 줄이고 파견직 300명 해고계획
미국, ‘中 강제노동 생산품 수입’ 의심…큐셀은 혐의 강력 부인
한화솔루션 자회사 큐셀이 미국 세관 당국의 부품 통관 지연 여파로 미국 조지아주의 공장 운영을 일시적으로 대폭 축소하기로 했다. 한화큐셀 조지아 카터스빌 공장.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한화솔루션 자회사 큐셀이 미국 세관 당국의 부품 통관 지연 여파로 미국 조지아주의 공장 운영을 일시적으로 대폭 축소하기로 했다. 한화큐셀 조지아 카터스빌 공장. 사진=연합뉴스
한화솔루션 자회사 큐셀이 미국 세관 당국의 부품 통관 지연 여파로 미국 조지아주의 공장 운영을 일시적으로 대폭 축소하기로 했다.

AP통신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한화큐셀은 7일(현지시간) 조지아주 전체 직원 3000명 가운데 1000명의 임금과 근로시간을 일시적으로 줄인다고 밝혔다.

조지아주 달튼과 카터스빌의 2개 공장에서 파견직 직원 300명도 해고할 계획이다.

한화큐셀은 미 세관국경보호국(CBP)이 항만에서 수입 부품에 대한 통관을 보류하고 있어 태양광 패널 조립 설비를 정상 가동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고 AP는 전했다.
CBP는 수입 부품이 중국에서 강제 노동으로 생산된 소재를 포함하고 있다고 의심해 억류한 상태다.

앞서 8월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은 ‘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강제노동으로 생산된 중국산 제품의 미국 반입을 제한하는 내용이다.

AP통신은 공개 보고서를 근거로 미 당국이 지난 6월부터 큐셀의 태양광 셀의 통관을 보류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해 한화큐셀은 강제노동 생산제품 수입 의혹을 전면 부인하고 있다.

한화큐셀 측은 AP에 “한화큐셀은 공급망 실사 절차가 강력하고, 문서화 시스템도 매우 상세하다”며 “최신 공급망은 전적으로 중국 외에서 조달되고 있다. 기존 공급망도 신장 지구에서 온 자재는 없다. 이는 제3의 감사인과 공급업체 등이 보증한다”고 강조했다.

큐셀은 미 당국과 협력 중이라면서 몇 주, 몇 달 내에 생산을 전면 재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큐셀은 23억 달러를 투자해 카터스빌에 태양광 모듈에 사용되는 잉곳, 웨이퍼, 태양전지 등을 생산하는 공장을 거의 마무리한 상태며 완공되면 태양광 모듈 수입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