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생태계 구축 위해 주요거점별 전국 단위 AI거점화 전략
내년에 글로벌 AI 스타트업 육성 위해 5조 이상 투자펀드
현장 수요 반영한 신기술 직업훈련 비중 2022년 15%로 ↑
내년에 글로벌 AI 스타트업 육성 위해 5조 이상 투자펀드
현장 수요 반영한 신기술 직업훈련 비중 2022년 15%로 ↑
이미지 확대보기정부가 17일 범정부 차원에서 마련해 발표한 ‘AI 국가전략’은 AI를 기반으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며 IT강국 한국을 위협하며 급격히 변화하는 글로벌 경쟁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대응책이다. 글로벌 경기하강과 불확실성 증대 속에서 경제활력을 제고하고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서 나온 정책이기도 하다.
정부가 향후 10년 후까지 실현하겠다고 내건 목표는 크게 세가지다. 즉 2030년 디지털경쟁력 세계 3위, 이를 기반으로 최대 455조원 규모의 경제 효과 창출, 그리고 우리 국민의 ‘삶의 질’을 OECD 30위에서 10위로 올린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가 마련한 큰 줄기는 ▲세계를 선도하는 인공지능(AI) 생태계 구축 ▲인공지능을 가장 잘 활용하는 나라 ▲사람 중심의 인공지능 구현 등 3대 분야이다. 그리고 이를 9개 전략, 100개 실행 과제로 세분화해 추진하게 된다.
우선 세계를 선도하는 AI생태계 구축 계획에는 오는 2021년까지 양질의 데이터 자원확충을 위한 공동데이터 전면 개방, 데이터 생산·유통·활용을 지원할 공공-민간 데이터 지도의 연계가 꼽힌다. 또한 내년부터 오는 2024년까지 지역산업과 AI융합의 거점이 될 광주 AI집적단지 조성도 눈길을 끈다. 주요 거점별 특성을 고려한 전국 단위 AI거점화 전략도 이어진다. AI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내년부터 오는 2029년까지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에 1조 96억원을 투자하는 내용도 있다. 내년에는 AI분야에서 ‘포괄적 네거티브 규제 로드맵’을 수립하면 AI시대 기본이념과 원칙, 역기능 방지시책 같은 기본법제도 마련하게 된다. 가칭 미래사회 법제정비단이 발족돼 분야별 법제 정비를 주도하게 된다. 글로벌을 지향하는 AI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내년에 5조원 이상의 AI 벤처 투자펀드를 조성하며 전세계 AI스타트업 대상의 ‘AI올림픽’도 연다.
또한 내년 중 AI기반 영상합성기술, 또는 그영상으로 인해 신시장 창출과 동시에 명예훼손같은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는 이른바 딥페이크(Deep fake)같은 새로운 유형의 AI역기능에도 범부처 차원의 협업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박수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sh@g-enews.com















![[뉴욕증시] 아마존 강세 속 3대 지수 상승](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0105294402113be84d87674118221120199.jpg)






![[초점] 롯데·인도네시아 국부펀드, 5조4000억 '메가딜' 가시화](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0107485000997fbbec65dfb21017812723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