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년 맞아 '역주행'…애플 매출 1위 오르기도
2년 전 2대 PD 취임…"대내외적 위기 상황"
내부 결속·로드맵 확립·유저 소통 단계 밟아
단기간 성과 넘어 '지속적인 전환' 이어갈 것
								2년 전 2대 PD 취임…"대내외적 위기 상황"
내부 결속·로드맵 확립·유저 소통 단계 밟아
단기간 성과 넘어 '지속적인 전환' 이어갈 것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쿠키런: 킹덤' 4주년 업데이트의 성공은 특별한 시기에 얻은 성과가 아닌 오랜 시간 쌓아온 노력과 열정에 따른 결과물이었다. 사랑 받는 게임을 만들기 위한 순수한 열정을 잃지 않는다면, 언젠가는 사람들의 마음에 닿을 수 있다는 것을 체감한 시간이었다."
데브시스터즈에서 대표작 쿠키런: 킹덤 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김이환 프로듀서(PD)가 26일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NDC) 2025 강연 '쿠키런: 킹덤, 제2의 전성기'에서 한 발표를 요약한 것이다.
쿠키런: 킹덤은 2021년 1월 21일 출시돼 올 초 4주년을 맞이했다. 지난해 기준 구글 매출 100위 바깥까지 밀려났던 이 게임은 올해 4주년 이벤트 이후 주요 업데이트 시점마다 꾸준히 매출 10위권에 오르는 등 역주행했다. 특히 여성 이용자 비중이 높은 애플 앱스토어에선 올 5월 매출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이런 성과에 대해 김이환 PD는 "총괄 PD를 맡은 게임이 주요 앱 마켓 매출 1위에 오른 것은 처음이었던 만큼 더욱 뜻깊었다"며 "국내는 물론 미국에서도 6위, 태국 8위, 캐나다 9위 등 글로벌 성과까지 더해져 올 초 제시했던 2025년 연간 목표 매출액을 지난 5월 이미 넘어섰다"고 언급했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김 PD는 현재 본사 데브시스터즈의 대표, 최고 IP 책임자(CIPO) 맡고 있는 조길현, 이은지 공동 PD에 이어 2023년에 2대 PD를 맡았다. 그는 "쿠키런: 킹덤 자체의 지표는 우하향하고, 본사의 경영 상황도 좋지 않았으며, 새로운 PD로서 조직원들의 신뢰까지 쌓아야하는 등 대내외적 위기 상황이었다"고 당시를 술회했다.
위기 극복을 위해 취했던 조치를 5단계로 나누어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개발 파이프라인을 정비하며 조직원들의 신뢰를 쌓고 공통된 비전을 확립하는 '기반 정비' △게임 업데이트 로드맵과 주기를 명확히하는 '게임 흐름 확립' △다양한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콘텐츠 개발 단계 '폭 넓은 재미' △업데이트 전후로 게이머들의 의견을 듣는 '이용자 소통' △개개인의 성장을 넘어 팀 전체의 체계를 확립하고 노하우를 축적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이 그것이다.
쿠키런: 킹덤의 흥행을 위해 주안점을 둔 세가지 또한 언급했다. 우선 유튜브 등 소셜 미디어를 통해 스토리 콘텐츠를 지속 노출하며 사전 기대감을 끌어올렸다. 인게임은 물론 오프라인 행사에서도 통일된 흐름의 세계관과 스토리를 선보여 몰입감을 높였다. 여기에 신규 유입 유저는 물론 복귀 유저들까지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요약 스토리, 성장 가속 이벤트 등을 병행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끝에 거둔 성과에 대해 김이환 PD는 "쿠키런: 킹덤 역사에 있어 새로운 장을 열고자 하는 마음을 담아 발표의 제목을 '제2의 전성기'라고 쓰게 됐다"며 "단기간에 거둔 성과가 아닌 '지속적인 전환'의 시발점으로 자리 잡게 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원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ony92kr@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