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입회선 1000만 돌파, 점유율 17%…통계는 호황
전파사용료 차후 50%·100% 부과…"가격 경쟁력 붕괴"
마케팅 축소→가입자 감소→수익 악화, 악순환 고착
도매대가 자율협상·보안규제까지 압박…정부 개입 절실
전파사용료 차후 50%·100% 부과…"가격 경쟁력 붕괴"
마케팅 축소→가입자 감소→수익 악화, 악순환 고착
도매대가 자율협상·보안규제까지 압박…정부 개입 절실

1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집계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국내 MVNO 가입 회선은 1011만684개로 나타났다. 5월 말에 비해 1.13% 증가했다. 전체 이동통신(통신 3사+알뜰폰) 핸드셋 5730만3514건의 약 17%를 차지한다
SK텔레콤의 이동통신 회선 수가 5월 보다 0.66% 감소한 2235만670개로 집계된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양적 성장은 이어지고 있지만, 중소 사업자들은 전파사용료 부담 확대가 재무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호소한다. 업계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파사용료 인상 중단을 1차 과제로, 도매대가 조정권 복원을 2차 과제로 제시했다.
도매대가 산정 방식도 논란이다. 현재 알뜰폰 도매대가는 정부 사전 규제 없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와의 자율 협상으로 결정된다.
다른 업체 관계자는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도매대가 조정권을 반드시 복원해야 한다"면서 "현 구조에서는 이동통신사가 실질적으로 도매대가를 낮출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정부가 상황을 인지하고는 있겠지만, 현장이 느끼는 긴박감에는 미치지 못한다"며 "제도 개선이 늦어지면 시장 전체가 위축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