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과 580억 규모 양산 계약 체결... 7년 만에 국산화 성공
이광열 감시정찰사업부장, “탁월한 성능과 우수한 가격경쟁력으로 수출길 개척해 나갈 것”
이광열 감시정찰사업부장, “탁월한 성능과 우수한 가격경쟁력으로 수출길 개척해 나갈 것”

방산·위성 사업을 하는 한화시스템은 방위사업청(방사청)과 580억 규모의 지뢰탐지기-Ⅱ 양산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한화시스템은 2022년부터 지뢰탐지기-II 1600여 대를 납품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향후 군 지뢰제거 작전때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지뢰 제거 활동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방사청과 한화시스템은 2015년부터 지뢰탐지기-II 개발을 추진해 왔으며 2020년 12월 개발을 끝냈다.
비금속 지뢰 탐지 성능이 있는 탐지기가 국내에서 개발돼 양산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에 군이 보유한 지뢰탐지기(PRS-17K)는 90년대 후반 도입돼 노후화 했으며 비금속 지뢰를 탐지하는 게 불가능했다.
새 지뢰탐지기는 장마철 유실지뢰에 따른 민간인 인명피해 최소화에 기여하고 비무장지대(DMZ) 유해 발굴에도 활용될 전망이다.
지뢰탐지기-II는 지표투과레이다(GPR)와 금속탐지기(MD) 복합센서를 통해 기존 지뢰탐지기가 찾아내지 못했던 목함, 발목 지뢰 등 비금속 지뢰까지 탐지 가능하다.
또 탐지된 지뢰를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탐지율은 월등히 높아졌다.
이광열 한화시스템 감시정찰사업부장은 “이번 양산을 통해 한국 군이 지뢰 위험으로부터 벗어나 안전한 작전 수행이 가능해지고 지뢰 사고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이미 검증된 선진국 과 비교해 탁월한 성능과 우수한 가격경쟁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수출 길을 개척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