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삼성전자, 전삼노 '연가사용 파업'…"별다른 피해 없었다"

글로벌이코노믹

삼성전자, 전삼노 '연가사용 파업'…"별다른 피해 없었다"

연가 사용자 지난 5일보다 적어…운영상 피해 無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지난달 29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앞에 설치한 현수막이 버스에 걸려있다. 사진=장용석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지난달 29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앞에 설치한 현수막이 버스에 걸려있다. 사진=장용석 기자
삼성전자 사내 최대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하 전삼노)가 파업 선언이후 첫 연가 투쟁에 나섰지만 연차 사용자가 적어 사실상 큰 피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날 연차사용자는 지난 5일보다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연차 휴가를 사용했다면 지난 6일부터 4일간의 휴가가 가능한 상황이었다. 앞서 전삼노는 전국 사업장에 근무하는 조합원 전원에게 이날 하루 연차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투쟁에 동참하라는 지침을 전달한 바 있다.

전삼노 조합원 수는 2만8000여명에 달해 전체 삼성전자 직원 약 12만5000명의 22%에 달한다. 조합원이 전삼노의 지침을 따랐다면 삼성전자는 이날 운영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예상보다 참여 인원이 저조해 이렇다할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투쟁에 참여한 인원수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현국 전삼노 부위원장은 "사상 첫 연가 투쟁이 조합원 자의에 의해 결정됐으면 하는 취지로 참여 인원은 공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시장도 전삼노의 이번 조치가 이렇다할 피해를 주지 않을 것이라 예상한 바 있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징검다리 연휴이고 팹(Fab)의 자동화 생산 의존도가 높은 점을 이유로 "이번 파업 선언은 D램과 낸드플래시 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출하량 부족 현상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삼노 측은 이번 파업이 시작일 뿐이라며 다양한 형태의 파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 사측과 전삼노는 지난 1월부터 교섭을 진행했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지난달 29일 파업을 선언했다.

이후 사측과 전삼노는 지난달 28일 교섭 결렬 이후 재교섭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어 삼성전자의 노조문제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