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AI연구원의 AI 엑사원·LG CNS 검색엔진 결합해 AI 업무에 도입
운영효율화로 애플 아이폰16 시리즈 공급사 삼성디스플레이보다 먼저 승인
운영효율화로 애플 아이폰16 시리즈 공급사 삼성디스플레이보다 먼저 승인
이미지 확대보기19일 업계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흑자전환을 위한 사업 환경 개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LG디스플레이는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업무에 도입했다. 디스플레이 분야에 AI를 적용한 것은 LG디스플레이가 최초다. LG AI연구원의 초거대 AI인 엑사원을 기반으로 LG CNS가 자체 개발한 검색엔진 키룩을 결합함으로써 업무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임직원이 제품 품질과 관련된 질문을 입력하면 AI가 축적된 사내 특화 지식을 분석해 최적의 답변을 제시해 준다. 사내망을 이용한 서비스로 민감한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되는 사태를 막을 수 있고, 담당자에게 문의하거나 과거 자료를 찾아보지 않고도 손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LG디스플레이는 AI 도입으로 업무지식의 상향 평준화와 경영 효율화를 꾀한다는 계획이다.
개선된 경영전략도 성과를 보이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하반기 공개될 애플 아이폰16 시리즈에 적용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공급 승인을 삼성디스플레이보다 먼저 받았다. LG디스플레이가 삼성디스플레이보다 먼저 공급 승인을 따낸 것은 처음으로, 먼저 승인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양사의 제품에는 큰 차이가 없다. 앞서 정 사장은 부임 당시 전략수립 기능을 담당하는 경영전략그룹을 최고경영자 직속으로 옮기는 등 운영 효율화를 꾀했는데, 업계는 향상된 경영 효율이 애플의 선택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LG디스플레이가 "2분기 대형 OELD 패널 출하량이 전분기 대비 60% 증가한 162만 대로 전망되고, IT OLED 패널 생산라인의 경우 2분기 생산량이 추가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늘어난 OLED 수요가 LG디스플레이의 흑자전환을 앞당길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에 따라 업계는 LG디스플레이가 2분기 적자를 줄이고 3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반락하며 5만2000엔 ‘붕괴’...이익실현...](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