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석화 지원대책 예고
글로벌 에틸렌 생산 과잉
소재산업이라 파급효과 커
글로벌 에틸렌 생산 과잉
소재산업이라 파급효과 커

12일 석유화학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조만간 석유화학 후속 지원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여천NCC 갈등이 표면으로 드러나자 다른 기업들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인사청문회 당시 “취임하면 이른 시일 내 석유화학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하겠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석화산업의 대표 물질인 에틸렌은 공급 과잉에 빠졌다. 한국화학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에틸렌 생산능력이 2억2530만 톤으로 3년 전인 2021년보다 9.6% 늘었다. 이런 가운데 롯데케미칼과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 LG화학 석유화학 부문 등 주요 석화 기업들은 지난해와 올해 상반기 영업적자를 냈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중국과 인도에서는 값싼 러시아산 석유로 석화제품을 생산하는 데다 이미 대규모 투자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했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이 가격 경쟁력 면에서 따라갈 수 없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가격 경쟁력 대신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품질 경쟁을 위한 구조 개편과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조홍종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장기적으로는 시간이 걸리는 석화산업 재건과 고도화를 위한 설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범용 석화제품의 생산량을 줄이면서 반도체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장비용 소재 등 고부가가치 석화 소재 개발·생산을 늘려야 한다”고 했다.
다만 정부가 구조조정을 촉진하는 방향에 실효성이 있느냐는 의문도 나온다. 당국의 요구대로 구조조정을 했다가 내부 반발 같은 위험 부담을 안을 수 있겠냐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기업 합병을 강압적으로 해도 괜찮았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근로자, 인권 등의 수준이 올라가 정부가 쓸 방법이 한정적”이라면서 “정부가 석유화학 기업(의 머뭇거림)을 탓하는 것이 맞나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고부가가치 석화 소재에 집중하는 전략보다 석유화학 산업 전반을 진흥할 법안이 필요하다”면서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을 폐지하는 수준으로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희·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