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및 실증사업 공동추진, 투자기업 제품·기술 도입
석·박사급 연구인력 55명, 지역 벤처 대상 맞춤형 지원
석·박사급 연구인력 55명, 지역 벤처 대상 맞춤형 지원
이미지 확대보기특히 글로벌 철강 수요부진·미국발 고율관세 및 중국발 저가공세 등 철강업계가 유례없는 위기를 맞이한 가운데 이같은 포스코의 행보는 국내외 업계에서 주목을 끈다.
미래 혁신기술 투자 위한 ‘기업형벤처캐피탈(CVC) 1호 펀드’ 결성
24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지난 8월 500억원 규모의 ‘포스코 기업형벤처캐피탈(CVC) 1호 펀드’를 결성했다. 이는 디지털 전환(DX), 에너지 절감, 탄소저감, 재생에너지 등 포스코의 미래 성장전략과 연계된 핵심기술을 보유한 벤처기업에 집중 투자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일환이다.
이와함께 포스코는 전체 펀드의 20%를 해외 유망 벤처기업에 투자하여 글로벌 혁신 생태계와의 연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다각적인 검증과정을 통해 기술가치, 재무구조, 전략적 합성 등의 요인들을 평가하여 미래 혁신 기술을 선도할 유망 벤처기업을 발굴해나갈 예정이다.
포스코와 투자대상 회사 간에는 R&D 및 실증사업 공동추진, 투자기업의 제품 및 기술을 포스코 사업부에 직접 도입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협력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포스코는 투자기업과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신성장 동력 확보와 사업 경쟁력를 강화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산학연 협력 기반 포스코 벤처지원단, 지역 벤처기업 맞춤형 기술 지원
포스코는 이번 CVC 결성 이전부터 지역기업과의 상생발전 및 벤처 친화적 생태계 조성을 위해 벤처기업 대상 다양한 지원 활동을 전개해오고 있다. 특히, 지난 24년 8월 포스코 벤처지원단을 출범하며, 산학연 협력을 기반으로 광양 지역을 비롯한 전남, 포항 지역의 벤처 창업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다.
포스코 벤처지원단은 석박사급 연구인력 55명으로 운영되며, 지역 벤처기업 대상으로 체계적인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24년에는 총 16개의 수혜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 구축과 로봇자동화 지원 등 31건의 기술자문을 이뤘으며, 지난 7월 사업신청 접수를 통해 △설비 및 제어기기, △복합소재, △이차전지 소재 등 분야의 지역 벤처기업 11개사를 선정해 맞춤형 기술자문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 외에도, 포스코는 ‘동반성장지원단’, ‘Smart화 역량강화’, ‘성과공유제(Benefit Sharing)’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벤처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 역량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김성원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inner5858@g-enews.com





















![[특징주] 영원무역, 7.27% 급등 52주 신고가...NH투자증권 "목표...](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816484205141edf69f862c118235146.jpg)
![[KRX 금현물] 3거래일 연속 하락…1g당 19만800원 마감](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816051909874edf69f862c1182351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