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환율 1432원 돌파…환차익보다 관세 리스크 확대
25% 관세 장기화 속 현지화·외교 병행 총력전
25% 관세 장기화 속 현지화·외교 병행 총력전

1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장중 1432원을 돌파하며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상 수출업종에서는 고환율 기저가 호재로 작용한다. 하지만 완성차 업계에서는 이번 고환율 기저를 '웃을 수 없는 호재'로 보고 있다. 미국발 관세 리스크가 수익성을 제약하기 때문이다.
현대차·기아는 대미 수출 비중이 약 40%에 이른다. 업계는 환율이 10원 오를 때마다 영업이익이 2000억~4000억 원 늘어나는 것으로 추산하지만, 관세 부담이 이를 상당 부분 상쇄하고 있다.
한국은 지난 7월 미국과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방안에 합의했지만, 협상 진전이 지연되고 있다. 반면 일본은 지난달부터 15% 인하 혜택을 적용받고 있어 경쟁 환경이 불리하다.
실제로 증권가에 따르면 현대차·기아의 3분기 관세 비용은 2조 원을 넘어섰고, 연말까지 25% 관세가 유지될 경우 최대 7조 원까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조지아주의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생산능력을 2028년까지 50만 대로 확대하고 가격 동결 전략을 병행하는 등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 정의선 회장은 15일 도쿄에서 개막한 '제3회 한·미·일 경제대화(TED)'에 참석해 대미 관세 문제를 주요 의제로 논의할 예정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환율은 변동성이 큰 데다 관세 부담은 구조적 리스크"라며 "단기 수익성 방어보다 한·미 협상을 통한 근본적 해법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