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관세는 내려가도 격차는 그대로...현대차 발목 잡는 '현지 조달'

글로벌이코노믹

관세는 내려가도 격차는 그대로...현대차 발목 잡는 '현지 조달'

표면적 관세 인하...구조 격차는 여전
토요타보다 낮은 현대차의 현지 조달 비중
부품업계엔 '현지화 압박' 현실화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 전용 부두에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 전용 부두에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사진=뉴시스
한·미 무역 협상 타결이 임박한 가운데 대미 수출 비중이 큰 국내 자동차 업계가 안도와 긴장을 동시에 느끼고 있다. 협상이 타결되면 미국 수출 자동차에 적용되는 관세가 기존 25%에서 15%로 조정될 전망이다. 겉으로는 부담이 줄어드는 듯하지만 업계 안팎에서는 구조적 격차를 해소하지 못한 일시적 완화라는 관측이 나온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표면적으로는 토요타·폭스바겐 등 일본·유럽 완성차와 동일한 15% 관세가 적용되는 셈이지만 실제 부담의 무게는 다르다. 미국 내 '현지 생산 및 조달 비중'에서 현대차그룹이 경쟁사에 비해 크게 뒤처져 있기 때문이다.

현재 현대차는 미국에서 판매 중인 6개 모델 중 약 32%를 현지 공장에서 생산한다. 기아도 5개 모델 중 26% 수준에 그친다. 반면 토요타는 미국 내 4개 공장에서 13개 차종을 생산하며 전체 판매 모델의 약 45%를 현지 조달한다. 캠리, 그랜드 하이랜더 등 주력 차종 대부분이 현지 생산돼 사실상 무관세로 판매되는 구조다.

이에 따라 현대차의 대표 수출 차종인 쏘나타와 팰리세이드 등은 여전히 국내 생산 후 미국으로 수출돼 관세 부담을 고스란히 안게 된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토요타 등 일본 차는 미국 내 생산·조립 기반이 비교적 많아 수출·관세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낮다"면서 "현대차는 해외 생산을 확대 중이지만 여전히 한국 혹은 해외 공장에서 조달해 수출하는 비중이 높아 관세 부담이 더 크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 관세 인하는 단기적으로 숨통을 트이게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국내 부품업계에 부담을 키울 가능성도 있다. 황 교수는 "미국 내 조달 요구가 커질수록 우리 부품업체들은 현지 생산·조달 압력에 직면할 수 있고, 물류비·환율·관세 등 비용이 가중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황 교수는 "부품 조달을 한국 수출에만 의존하는 구조로는 앞으로 어려움이 예상된다"면서 "미국 내 또는 북미 지역에 부품 거점을 마련하거나 현지 공급자와 합작을 통해 현지화 비율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나연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chel08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