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시험대에 오른 연준의 금리정책

글로벌이코노믹

오피니언

공유
0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시험대에 오른 연준의 금리정책

미 연준(Fed)의 금리인하 시점은 종잡을 수 없다는 게 특징이다. 사진은 제롬 파월 미  연준  총재. 사진=EPA/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미 연준(Fed)의 금리인하 시점은 종잡을 수 없다는 게 특징이다. 사진은 제롬 파월 미 연준 총재. 사진=EPA/연합뉴스
미 연준(Fed)의 금리인하 시점은 종잡을 수 없다는 게 특징이다. 물가와 고용지표에 따라 정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나온 미국의 4월 고용지표 악화는 다시 금리인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4월 비농업 부문 신규 일자리는 전달보다 17만5000개 늘었다. 이는 시장 전망(23만8000개)은 물론 3월의 30만3000개를 크게 밑도는 수치다.
실업률도 3.9%로 예상(3.8%)보다 높았다. 고용시장의 선행지수인 고용추세지수(ETI)도 111.25를 기록했다. 전달의 112.16보다 하락한 상태다.

미국의 고용 증가세 정체는 금리인하 신호다. 하지만 물가가 좀처럼 하락할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게 문제다.
파월 연준 의장도 시시각각 달라지는 지표를 보며 말을 달리하고 있다. 2% 물가 목표에 수렴하고 있다는 발언 이후 3.5% 오른 3월 소비자물가를 보고 180도 말을 바꾼 게 대표적이다.

시장은 시시각각 바뀌는 경제지표를 일일이 살펴야 하는 형편이다. 한마디로 연준의 물가 억제 시나리오가 허술하다는 증거다.

연준의 오락가락 행보로 미국 10년물 채권금리는 상승세다. 34조 달러의 국채를 발행한 미 재무부로서는 이자를 그만큼 더 부담해야 한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미 재무부가 3월 국채 보유자에게 지급한 이자만 890억 달러다. 우리 돈으로 120조7000억원 규모다. 대략 1분에 200만 달러의 어마어마한 이자를 치르는 셈이다. 물론 투자자는 지난 10년 평균의 2배 이상의 이자를 챙길 기회다.

미국은 재정적자를 국채를 발행해서 메우는 나라다.

세입예산의 17%를 이자 갚는 데 투입하고 있을 정도다. 미 국채금리 상승은 글로벌 자금을 흡수해 달러 강세를 유발한다.

글로벌 환율 불안도 알고 보면 미국의 재정과 통화 정책 탓이다. 여기에 미·중 갈등도 한몫 더하고 있다. 미국 경제의 연착륙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글로벌 증시와 외환시장의 혼란을 피하기 힘든 구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