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중 절반 이상은 고전압베터리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상황으로 보면 주차 또는 충전 중 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21일 한국교통안전공단(TS)이 2018~2024년 7년 동안 실시한 156건의 전기차 화재조사 결과를 보면 발화장치별 화재 건수는 △고전압배터리가 85건 △차량 기타 장치 39건 △차량 외부요인 및 원인미상 등 32건 순으로 집계됐다.
화재상황별 화재 건수를 보면 △주차·충전 중 103건 △주행 중 32건 △충돌사고 후 21건이 발생했다. 특히 주차 중 발생한 고전압배터리 화재는 초기 발견과 대응이 어려워 대형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단은 ‘전기차 화재 대응 TF(테스크포스)’를 구성하고 신속성, 전문성, 지속가능성을 바탕으로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에 신규 평가항목을 신설했다. 또 사전인증 관리 대상 부품을 확대하는 등 안전관리 체계를 구체화했다.
특히 주차 중 화재 시 BMS(배터리관리시스템)가 작동하지 않아 고전압 배터리의 이상을 감지하지 못하고, 화재 전조증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소방기관에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초동 조치가 어려웠던 문제를 해결했다.
초동 조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단은 배터리 상시 감시, 자동 신고, 정보 저장의 3가지 평가항목을 마련한 BMS 보호기능 평가를 지난해 세계 최초로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에 도입했다.
공단은 배터리 전주기의 체계적 관리 및 사용 후 배터리 활성을 위해 배터리의 성능, 수명, 잔존가치 등을 종합 관리하는 배터리 이력관리 시스템을 마련할 예정이다.
정용식 TS 이사장은 “TS가 보유한 전기차 화재조사 관련 노하우와 연구 역량을 활용해 안전한 전기차 운행 환경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사전 예방 측면의 철저한 안전관리를 통해 전기차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전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040sys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