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삼성 갤럭시, AI가 보이스피싱·스팸까지 차단하는 신규 기능 도입

글로벌이코노믹

삼성 갤럭시, AI가 보이스피싱·스팸까지 차단하는 신규 기능 도입

갤럭시Z 폴드7·플립7,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 알림' 기능 신규 도입
갤럭시 스마트폰이 차단된 메시지를 보여주고 있다. 사진=삼성전자이미지 확대보기
갤럭시 스마트폰이 차단된 메시지를 보여주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최근 보이스피싱 기술 고도화에 대응하기 위해 딥러닝 기반 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보안 기능을 갤럭시 스마트폰에 도입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갤럭시 스마트폰에 기본으로 탑재된 전화 앱에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 알림' 기능을 새롭게 도입했다. 이 기능은 모르는 번호와 통화를 할 경우 AI 기반으로 보이스피싱 의심 여부를 실시간으로 탐지해 '의심(보이스피싱 의심)', '경고(보이스피싱 감지)' 등 2단계에 걸쳐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한다.

갤럭시 스마트폰은 통화 내용을 토대로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면 '의심', '경고' 알림을 통화 중에 사용자에게 보낸다. 첫번째 알림은 노란색의 '보이스피싱으로 의심'이라는 문구와 소리·진동이 각 1회 발생돼 주의 경고를 전한다. 두 번째는 빨간색의 '경고:보이스 피싱 감지됨'이라는 문구와 함께 소리·진동이 각 3회씩 발생돼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한다.

삼성전자가 이 기능을 개발한 이유는 올해 상반기 기준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가 약 1만 2000건, 피해액이 약 6400억원에 달할 정도로 피해가 심각하기 때문이다. 이에 삼성전자는 경찰청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2024년부터 제공된 보이스피싱 데이터 약 3만개를 기반으로 딥러닝 학습을 거쳐 기기 내(온디바이스) AI 기술로 보이스피싱 여부를 탐지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 알림'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전화 앱의 '설정'에서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 알림' 메뉴를 선택하고 기능을 활성화하면 된다. 7월 출시된 갤럭시 Z 폴드7·Z 플립7에 적용 중으로 추후 원UI(One UI) 8 이상이 적용된 스마트폰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9월 방송통신위원회 및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협업해 개발한 '악성 메시지 차단 기능'을 One UI 6.1 이상이 적용된 국내 갤럭시 스마트폰에 제공해 왔다. 이외에도 '악성 메시지 차단' 기능과 AI가 딥러닝 기반으로 스팸을 필터링해 차단해 주는 '인텔리전스로 차단' 기능도 3월부터 갤럭시 S25 시리즈에 처음 적용한 바 있다.

김정식 삼성전자 MX사업부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지속적으로 보이스피싱과 악성 메시지 차단을 위한 기술을 강화하며, 갤럭시 사용자들에게 더욱 안전한 모바일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