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AI시대 보험산업, 전략적 데이터 활용이 키”

글로벌이코노믹

“AI시대 보험산업, 전략적 데이터 활용이 키”

보험개발원, ‘보험산업을 재편하는 AI와 보험의 융합’ 보험미래포럼
12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5 KIDI 보험미래포럼'에서 허창언(가운데 왼쪽) 보험개발원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이민지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12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25 KIDI 보험미래포럼'에서 허창언(가운데 왼쪽) 보험개발원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이민지 기자
인공지능(AI) 시대 속 보험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전략적인 데이터 활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해외 보험업계로부터 다수 제시됐다.

보험개발원은 12일 서울 여의도에서 ‘보험산업을 재편하는 AI와 보험의 융합’을 주제로 한 KIDI 보험미래포럼을 열었다.

이날 포럼에는 미 보험감독자협의회(NAIC), 아마존웹서비스(AMS), IBM, 밀리만 등 글로벌 보험업권의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도로시 앤드류스 NAIC 데이터 분석 총괄역은 보험 규제에서 AI 모델의 편향성을 설명했다.
그는 “AI 모델에는 통계적 편향, 인간 편향, 제도 편향이 있다”며 “이런 편향을 완화하는 데 가장 중요한 부분은 (보험사의) 거버넌스”라고 말했다.

그는 NAIC가 이런 편향성 해소를 위해 AI 거버넌스 태스크포스(TF)를 구축했다고 소개하며 “TF는 국제적인 거버넌스 표준을 수립하는 일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양경희 보험개발원 데이터신성장실장은 데이터 활용 가치 증진에 집중했다. 그는 “보험산업의 미래는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역량으로 결정될 것”이라며 “데이터 활용 가치를 증진하는 데이터 벨류 체인 혁신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데이터수집 단계부터 분석, 활용까지의 가치화 과정을 반복하는 데이터의 가치사슬을 깊이 있게 이해해 활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테리 부크너 ASW 글로벌 보험 핵심시스템 리더는 “가장 중요한 것은 비즈니스 목표를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AI가 단순히 멋져 보이거나, 임원이 물어서 투자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나쁜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고객과의 인터렉션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사업 성장 드라이브는 무엇인지, 수익성 확대 방안은 무엇인지, 더 나은 언더라이팅 시스템 구축 방안은 무엇인지 등을 매끄럽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IBM, 밀리만 등의 전문가들은 보험업권의 AI 혁신 사례를 설명했다.

허창언 보험개발원장은 “보험산업이 AI 시대에 걸맞는 투명하고 책임 있는 혁신모델을 확립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