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지가가 34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사히신문, 닛케이 등 일본 외신이 16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일본 국토교통성이 발표한 기준지가(7월 1일 기준)는 전년 대비 1.5% 상승, 4년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이번 상승폭은 버블 붕괴 직전인 1991년(3.4%) 이후 최고 수준이다.
기준지가는 국토교통성과 지방자치단체가 매년 7월 초에 조사·발표하는 전국 약 2만 지점의 토지 가격이며 민간 거래의 기준 가격으로 활용된다.
올해 상승 추세는 도쿄·오사카·나고야 등 이른바 ‘3대 도시권’에서 더 극명하게 드러났다. 도쿄권은 5.3%, 오사카권은 3.4%, 나고야권은 2.1% 각각 올랐고, 인구 소멸로 몸살을 겪고 있는 지방권도 0.4% 상승했다.
첨단 반도체 기업 래피더스(Rapidus)가 신공장을 건설 중인 홋카이도 치토세 지역의 상승세가 뚜렷했다.
일본 전국 조사 지점 중 49.3%에서 지가가 상승했고, 도쿄권에서는 무려 89.2%가 상승을 기록했다.
용도별로는 상업지가 2.8%, 주택지가 1.0% 각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닛케이는 “해외 자금이 일본 부동산 시장에 유입되며 도쿄권이 상승을 주도했다. 일본 경제가 완만히 회복되는 가운데 지가 상승 사이클이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가장 높은 지가를 기록한 곳은 도쿄 긴자의 메이지야 긴자 빌딩부지였다. 해당 부지는 평방미터당 4690만 엔으로 평가되어 1년 전보다 11.4% 상승했으며, 20년 연속 전국 최고 기준지가를 유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