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 아파트 매매 54%가 신고가
강남 42%…경기 과천은 57% 기록
영등포·양천·서대문구 신고가 확대
강남 42%…경기 과천은 57% 기록
영등포·양천·서대문구 신고가 확대

직방은 올해 6~10월 국토교통부 실거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 아파트 신고가 거래 비중이 6월 22%에서 9월 24%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10월은 아직 초반 거래가 진행 중이라 누적 건수는 적지만, 현재까지 집계된 신고 기준으로는 신고가 비중이 9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서울에서도 규제지역과 핵심 입지를 중심으로 한 회복 구조가 뚜렷했다. 9월 서초구는 신고가 비중 54%로 가장 높았고 강남구 42%, 용산구 35%, 송파구 32% 순을 기록했다. 가격 상단부 회복 흐름이 기존 규제지역에서 먼저 나타난 셈이다.
이 같은 흐름은 양천·영등포·서대문구 등 이른바 중간권 지역으로 점차 확산되는 양상으로 이어졌다. 9월 기준 영등포구(29%), 양천구(28%), 서대문구(24%) 등에서 신고가 거래 비중이 확대됐다.
반면 노원·도봉·금천구 등 외곽 일부 지역은 신고가 비중이 한 자릿수에 머물며 확산 영향이 제한적이었다.
경기도의 흐름도 서울과 유사하게 핵심 축을 중심으로 회복이 전개되는 모습을 보였다. 분당·과천·하남 등 강남 접근성이 높은 지역이 신고가 증가를 주도했고 9월 과천(57%), 성남 분당구(43%), 하남(11%)등에서 신고가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성남 수정구(21%)·중원구(23%)·의왕(5%)·안양 동안구(9%) 등에서도 신고가 사례가 확인되며 회복 흐름이 수도권으로 확산되는 양상이 관찰됐다.
다만 확산 속도는 지역별 격차를 보였다. 용인 수지(8%)·수원 장안(8%)·팔달(6%)·광명(7%) 등 이른바 중간권은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인 반면, 비규제지역은 상대적으로 상승 폭이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온도 차는 이번 10·15 규제지역 조정 과정에서 정책 경계선이 설정된 배경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이번 대책은 강남권과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형성된 가격 상단 압력을 관리하고 시장 기대 심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라며 “실수요가 진입 가능한 가격 구간은 유지하면서 가수요와 투기성 자금의 확산을 차단하려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어 “단기적으로 대책 적응 기간이 불가피해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으나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층은 핵심 입지 중심으로 이동을 이어가고 실수요층은 예산에 맞춘 대체 지역이나 중간 가격대 주택을 선택하는 흐름을 보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