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장인화 포스코 회장 "글로벌 공급망 협력, 지속가능한 미래 해법"

글로벌이코노믹

장인화 포스코 회장 "글로벌 공급망 협력, 지속가능한 미래 해법"

수소환원제철·이차전지 등 호주 협력 사례 강조
"비즈니스 넘어 재난대응까지 협력 범위 확대"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사진=포스코홀딩스이미지 확대보기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사진=포스코홀딩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글로벌 공급망 협력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장 회장은 30일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 서밋의 ‘탄력적이고 친환경적인 글로벌 공급망 구축’ 세션에서 "다자간 공급망 협력은 아시아·태평양 주요 경제주체들이 공동 번영을 위해 해법을 모색하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HyREX) 기술을 대표적인 공급망 협력 사례로 소개했다. 수소환원제철은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차세대 제철 기술로, 포스코는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이다. 장 회장은 "호주의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청정 수소를 활용해 탄소 저감 철강제품을 만들 계획"이라면서 "이는 지속가능한 미래로 가겠다는 확고한 의지"라고 밝혔다.

포스코그룹은 1971년부터 호주와 철광석 협력을 이어오고 있으며, 현재 포스코 원료의 약 70%를 호주에서 공급받고 있다. 이차전지 핵심 원료인 리튬·니켈·희토류 분야에서도 협력을 확대 중이다. 장 회장은 "호주 광산에서 채굴된 스포듀민을 들여와 2024년부터 국내에서 수산화리튬을 생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2년 호주 핸콕에너지와 함께 세넥스에너지를 인수해 천연가스 개발에 나섰으며, 현지 수소 생산 기업과의 협력도 검토 중이다. 일본 마루베니그룹과는 호주 포트헤들랜드 지역에서 탄소 저감 철강 원료(HBI)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의 재난대응체계를 벤치마킹해 한국 내 모의훈련, 대피시설 개선, 소방장비 지원 등 사회공헌사업도 준비 중이다. 장 회장은 "호주와의 협력을 단순한 비즈니스가 아닌 사회적 회복력 증진으로까지 확장하고 있다"면서 "기업은 경제적 성과를 넘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주체로서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끝으로 "기업들이 서로 다리를 놓고 비즈니스로 세상을 변화시켜야 한다"면서 "함께 협력해 지속가능한 내일을 만들어 가자"고 당부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